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제2롯데월드 안전성 논란 재점화…롯데건설, 화재에 '당혹'


입력 2014.02.16 15:13 수정 2014.02.16 15:29        최용민 기자

시민들 불안감 확산...회사측은 '문제없다' 해명만

16일 오전 0시쯤 서울 송파구 잠실 제2롯데월드 공사장 46층에 있던 컨테이너 박스에서 불이 났다. 불은 컨테이너 박스 안에 있던 건설 자재 일부를 태우고 25분 만에 진화됐으며 인명피해는 없었다. 사진은 이날 화재가 진화된 현장의 모습 ⓒ연합뉴스
서울 잠실 제2롯데월드의 안전성 문제가 또다시 도마위에 올랐다. 16일 자정쯤 발생한 화재로 롯데월드타워의 안전성 문제가 또다시 불거지자 시공사인 롯데건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롯데건설측은 별 문제가 없다고 밝혔지만 국내 최고층 건물이 될 롯데월드타워 공사현장에서 연이어 사고가 발생하면서 불안감이 더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롯데건설은 이날 오전 자료를 배포해 "화재는 47층 철재로 만들어진 용접기 보관함 내부에서 발생했으며 발견 즉시 소방서에 연락해 현장인력과 25분만에 신속히 진압했다"며 "불이 났을 때 해당 층에서는 작업이 이뤄지지 않았고 인명 피해도 없었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연기가 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본 인근 주민들이 찍은 화재 장면이 인터넷에 급속히 퍼지며 롯데월드타워의 안전성 논란이 다시 불거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

롯데건설측은 이번 화재가 크게 번지지는 않아 공사에 큰 차질은 없을 것으로 예상하면서도 재차 불거진 안전성 논란에 전전긍긍하고 있다.

롯데건설 관계자는 "사진이 찍힌 시점은 화재가 다 진압되고 연기만 흘러나오는 상태였다"며 "야간에 건물 전체에 주황 빛깔 조명을 켜놓고 있기 때문에 시뻘건 불로 오인돼 불안감이 증폭된 측면이 있는 것 같다"고 해명했다.

김영삼 정부 때부터 추진된 제2롯데월드 건설은 2011년 11월 성남비행장의 활주로를 3도가량 트는 조건으로 최종 건축허가가 났다.

그러나 서울공항에 이착륙하는 군용기의 안전성 문제가 여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지적을 받으며 착공 전부터 안전성 논란에 시달렸다.

뿐만 아니라 지난해 6월에는 공사 현장에서 구조물이 붕괴해 근로자 1명이 숨지고 5명이 다치는 사고가 발생했다.

10월에는 기둥 거푸집 해체 작업을 하던 중 쇠 파이프가 약 50m 아래 지상으로 떨어져 인근을 지나던 행인이 충격으로 병원에서 진료를 받는 등 크고 작은 사고도 끊이지 않고 있다.

지난해 11월에 발생한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 아파트 헬기 충돌사고 직후에는 고층 건물의 안전성에 대한 불안감이 증폭되며 롯데월드타워의 층수를 낮춰야한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최용민 기자 (yong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최용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