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숙 후임 조건은? ①자질 ②PK ③장악력 ④전문성
윤 전장관 장악력 없고 자질로 잘렸고 PK도 불만
현직 국회의원들 물망…고려사항 많아 '숙고'
여수 기름유출 사고와 관련한 실언으로 물의를 빚은 윤진숙 해양수산부 장관이 지난 6일 경질되면서 후임 인사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신중한 입장을 보이는 청와대와 달리 새누리당 내에서는 벌써부터 후임 해수부 장관 후보자로 친박(친박근혜)계인 서병수 의원, 해양전문 변호사 출신인 유기준 의원, 농어촌공사 사장을 지낸 홍문표 의원 등 당내 인사들이 물망에 오르고 있다. 이들 모두 재선 이상의 현직 의원으로, 정치권 내에서 잔뼈가 굵다.
다만 인사권자인 박근혜 대통령은 후임 해수부 장관 인선에 어느 때보다 신중을 기해야 하는 입장에 처했다. 정치권의 개각 요구, 지역사회의 불만이 빗발치는 상황에서 이번 해수부 장관 인선이 갖는 의미가 남다르기 때문이다. 출신 지역과 전문성, 부처 장악력까지 고려해야 할 사안도 산더미다.
먼저 후임 해수부 장관 인선에는 부산의 여론이 무엇보다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이 윤 전 장관을 임명할 당시에도 부산에서는 부정적인 여론이 팽배했다. 윤 전 장관이 부산 출신이기는 하지만, 부산 내 정치적 입지나 사회활동 경력 등을 고려할 때 지역적 대표성이 결여됐다는 이유에서다.
특히 해수부 청사 부산 유치가 불발된 뒤 정부에 대한 부산지역의 비판 여론은 극에 달했다. 실제 6월 지방선거를 앞두고 새누리당의 부산 내 지지율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최소한 해양수산 정책에 있어서는 ‘해양수도’로 불리는 부산의 목소리를 어느 정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부산의 일관된 요구다.
또 박 대통령의 대선공약인 ‘동북아 해양수도 부산 육성’이 무산될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확산되면서 부산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해줄 수단으로 정무감각을 지닌 해수부 장관을 원한다는 관측도 나온다.
여기에 후보자의 전문성도 후임 해수부 장관 인선에서 고려돼야 할 중요한 사안으로 꼽힌다. 박 대통령은 윤 전 장관을 경질하면서 개인의 자질을 문제 삼았다. 전문성을 문제로 윤 전 장관을 경질했을 경우, 자칫 정부부처 수장으로서 능력이 부족하다고 평가받는 인사들에 대한 개각 요구로 번질 수도 있었기 때문이다.
정부부처 수장의 자질 시비는 내각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시기에 가장 경계해야 할 사안 중 하나다. 이 같은 점을 고려할 때, 후임 해수부 장관으로는 해당 분야에서 경력이나 능력을 검증받은 인물, 혹은 정무적 판단력이 뛰어나 자질 시비를 일으키지 않을 인물이 낙점돼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이밖에 후보자의 부처 장악력도 해수부 장관 인선 시 고려돼야 할 조건으로 지적된다.
윤 전 장관은 장관으로 임명되기 전 해양수산개발원 해양연구본부장을 지냈다. 해양수산개발원은 국토연구원, 농촌경제연구원 등과 함께 국무총리실 산하 연구기관으로 1999년까지는 해양수산부의 감독을 받았다. 해수부 공무원들의 입장에서 부설기관의 중간간부급 인사가 자신들의 우두머리로 온 격이다.
더욱이 윤 전 장관이 맡았던 직위는 중앙부처의 4급 과장과 소통하는 직위다. 승진으로 비유하면 4급 과장이 국·실장(1급), 차관을 모두 건너뛰고 장관에 오른 셈이다. 이 때문에 윤 전 장관의 임명 초기부터 윤 전 장관이 공무원들로부터 장관으로 인정받지 못하고, 조직을 장악하지 못한다는 이야기가 나돌았다.
정치권에서는 이 같은 문제를 조기에 차단하기 위해서라도 최소한 유관분야 공공기관장을 지낸 인사나 정부부처와 관계에서 상대적으로 ‘갑(甲)’의 위치에 있던 전·현직 국회의원을 후임 해수부 장관으로 임명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