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동 비매너에 번번이 골탕먹는 한국축구
시리아 비매너 골, 이기고도 씁쓸한 뒷맛
스포츠정신 망각한 중동축구 '대비책 없나'
중동축구의 고질적인 문제점인 비매너 플레이가 또 국제무대에서 터져 나왔다.
이광종 감독이 이끄는 22세 이하 대한민국 남자축구대표팀은 19일(한국시각) 오만 무스카트 시브 스포츠 컴플렉스에서 벌어진 '2014 아시아축구연맹(AFC) U-22 챔피언십' 8강에서 시리아를 2-1 격파하며 4강 진출에 성공했다.
이겨서 다행이지만 한국은 이날 씁쓸한 체험을 했다. 한국이 2-0 앞서며 승리가 확정적이던 후반 추가시간, 황도연이 부상으로 쓰러지자 문창진이 공을 사이드라인 밖으로 걷어냈다. 이런 경우는 통상적으로 상황이 정리되고 나면 시리아가 한국에 공격권을 넘겨줘야 하는 게 관례다.
그러나 시리아는 볼을 돌려주는 대신 바로 공격으로 전환했다. 가만히 서서 경기 재개를 기다리고 있던 한국 선수들은 당황할 수밖에 없었고, 시리아 마르케디안은 페널티박스로 침투해 한국 골키퍼 노동건까지 제치고 공을 골문 안으로 밀어 넣었다. 규정상 심판도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기에 시리아의 득점이 인정됐지만 명백히 비열한 플레이였다.
한국이 여전히 1골 차로 앞서 있는 상황이어서 시리아의 득점이 결과에 영향을 주지 못했지만 만일 비기거나 지고 있는 상황이었다면, 그야말로 아찔한 장면이 아닐 수 없었다. 한국 벤치와 선수들은 이기고도 불쾌한 기색이 역력했고, 난감한 시리아 벤치에서 이광종 감독에게 사과를 하기도 했다.
국내 팬들에게 이런 장면이 낯설지 않은 이유는 바로 2011년 AFC 챔피언스리그 4강전에서 벌어진 알 사드(카타르)의 행위와 판박이라고 할 만큼 똑같은 장면이기 때문이다. 당시 수원 삼성과 알사드의 4강 1차전에서 수원은 시리아전과 비슷한 장면으로 알사드에게 실점을 허용했다. 격분한 양 팀 선수들 간 난투극까지 벌어질 정도로 후폭풍이 거셌다.
결국, 이 실점이 빌미가 돼 수원은 1차전 패배의 후유증을 극복하지 못하고 무릎을 꿇었다. 알 사드는 결승에서 전북 현대까지 승부차기로 꺾고 우승을 차지했지만 역사상 가장 오명을 남긴 챔피언이라는 불명예를 피할 수 없었다.
문제는 중동국가들의 비매너 플레이에 한국축구가 희생양이 된 것이 하루 이틀이 아니라는 점이다. 흔히 '침대축구'로 대표되는 노골적인 시간 지연 플레이나 할리우드 액션은 중동축구의 발전을 정체시키는 고질병으로 일컬어진다.
상대에 대한 존중이 결여된 비신사적인 경기매너와 과도한 홈 텃세도 도를 넘었다. 브라질월드컵 최종예선에서 한국과 맞붙은 이란은 홈경기에서 상식 이하의 홈 텃세로 빈축을 산 데 이어 한국 원정에서는 카를로스 케이로스 감독이 승리 후 최강희 감독에게 주먹감자를 날렸다. 뿐만 아니라 이란 선수단은 한국 관중을 도발하는 세리머니로 구설에 오르기도 했다.
이란 현지 언론도 자국대표팀의 추태를 객관적으로 보도하기보다도 끊임없는 사실 왜곡과 선동 등 갈등 조장으로 한국 측에 책임을 전가했다.
이쯤 되면 특정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라 중동축구 전체에 만연한 비매너 플레이와 도덕 불감증이 근본적인 문제라고 할만하다. 비록 이번에는 한국이 패배는 하지 않아 해프닝으로 넘어갈 수 있었지만 중동축구의 지저분한 비매너 플레이에 경종을 울리지 않는다면 언제든 똑같은 사태가 재현될 수밖에 없다.
AFC U-22 챔피언십은 아직 젊은 선수들이 참가하는 대회다. 스포츠에 대한 순수성을 잃지 말아야할 어린 선수들조차 중동축구 특유의 지저분한 관습에 물들어 있을 정도라면 앞으로 중동축구의 발전 가능성은 없다고 봐야 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