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승조 "노무현 탄핵했듯 제명하라"
기자회견서 "침소봉대말라, 겁박하지 말라" 반박
양승조 민주당 최고위원이 10일 박정희 대통령의 암살과 박근혜 대통령을 연관시킨 자신의 발언에 대해 “내 발언이 제명사유에 해당한다면 다수당의 힘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탄핵하였듯이 제명하라”고 맞섰다.
양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11시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왜곡하지 말라. 침소봉대하지 말라. 겁박하지 말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제명 운운’을 듣고 대한민국의 헌법의 개정을 주장해도 15년 이하의 징역에 처한다는 유신시대 긴급조치 1호가 떠올랐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제명사건이 기억났다”면서 “국민을, 국회의원을 더 이상 협박, 겁박하지 말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앞서 당대표실에서 비공개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취재진에게 “사과는 없다. 유감표명도 없다. 내가 직접 내 목소리로 해명 하겠다”고 밝힌 것보다 더욱 강하게 맞불을 놓은 셈이다.
특히 기자회견 후 취재진이 지도부와 상의한 입장이었는지를 묻자 양 최고위원은 “나 양승조의 개인적 견해다. 나는 우리 민주당 최고위원이기도 하다”라면서 “최고위원의 한 사람을 떠나 헌법기관인 국회의원으로서 당연히 독자적, 자립적으로 말할 자격 있다고 생각 한다”고 말했다.
또한 ‘국회 정상화를 위해 유감표명 할 의사가 있느냐’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만약 내가 이 부분에 대해 사과나 유감표명을 한다면 앞으로 어느 국회의원이 대통령이나 새누리당의 구미에 맞지 않는 발언을 할 수 있겠나”라며 “사과나 유감표명을 하는 것은 앞으로의 정치 관계에서 민주당이 국정 상황에 대해 말할 수 있는 여러 가능성을 봉쇄하는 것이라 생각하기 때문에 사과할 수 없다”고 잘라 말했다.
민주당도 양 최고위원을 감싸며 새누리당의 사과요구에 팽팽히 맞섰다.
전병헌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민주당 의원의 발언을 핑계로 새누리당이 국정원 개혁 특위를 거부하고 간사협의를 중단한 것은 해도 해도 너무한 억지”라며 강력히 반발하고 나섰다.
특히 전 원내대표는 “과거 새누리당이 한 일을 아직도 민주당과 국민은 기억하고 있다”라며 “ 김대중·노무현 대통령을 향한 인신모독과 저주에 가까운 발언들이 얼마나 많았나. 노 대통령을 인정 못해서 당선무효, 선거무효 선언까지 하고 탄핵까지 추진했던 것이 바로 새누리당 아니었나”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청와대가 대통령 위해를 선동·조작한다며 확대해석, 과잉대응 하는 것이야말로 오히려 더욱 위험한 행태가 아닌지 진지하게 돌아봐야한다”고 지적했다.
정청래 의원은 더 나아가 김무성 새누리당 의원과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을 향해 날 선 비난을 퍼부었다.
정 의원은 지난 2003년 9월 3일 김무성 당시 한나라당 의원이 ‘나는 노무현이를 지금도 대통령으로 인정 않고 있다’라고 했던 발언을 언급하며 “당시 청와대에서는 국회의원으로서의 품위를 유지해달라는 짧은 논평만 하나냈을 뿐 김무성 의원을 제명하겠다고 나선 적은 없다. 대선불복 원조정당은 새누리당”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또한 “작년 12월 19일 이정현 당시 공보단장이 ‘문재인 명의의 문자메시지가 유포되고 있다. 문재인 후보가 당선되더라도 당선무효 투쟁을 할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라며 “(이 수석은)이번 19대 대통령 선거에서 최초의 대선불복 발언을 한 장본인이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이어 “새누리당은 까마귀 고기를 먹었나. 본인들이 한 것은 다 까먹고 장하나·양승조에 대한 제명안 처리를 운운하는 것은 공포정치의 부활”이라면서 “이러니 SNS 일각에서는 새누리당을 새머리당이라고 하는 것”이라고 비꼬았다.
한편 김한길 대표는 이날 오후 열린 의원총회에서 “양 최고위원 발언의 진위가 심하게 왜곡됐다고 수차례 해명했음에도 불구하고 새누리당이 전혀 엉뚱한 뜻으로 몰아가고 있다”면서 “이는 정쟁의 불씨를 살리려는 불순한 흐름으로 보인다”고 비난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