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가 11살짜리 아이를 뒷조사한 불법흥신소로 전락"
민주당이 채동욱 전 검찰총장의 혼외자(子) 의혹사건에 관한 청와대 인사의 개입이 확인되자 맹공모드로 들어갔다. 민주당은 6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채 전 총장 사건과 국가정보원(국정원) 등의 대선개입 의혹 사건을 연계시키며 국정원 사건은 물론 채 전 총장 사건도 특별검사제(특검) 도입이 필요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김한길 당 대표는 이날 국정원 사건에 관한 특검도입을 강조한 뒤 “뿐만 아니라 ‘채동욱 찍어내기’에 청와대가 직접 개입한 정황도 속속 드러나고 있다”며 “그래서 특검이 필요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은 특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며 “민주당은 각계 연석회의와 마련한 특검법안이 정리 되는대로 국회에 발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병헌 원내대표도 여권의 특검 수용을 강력히 촉구하면서 “채 전 총장에 대한 정보유출사건은 현 정부 몸통이 전 정부 깃털들을 이용한 사건”이라며 “도마뱀 꼬리를 자르듯 넘어갈 일이 아니다”고 쏘아붙였다. 그는 “특검이냐, 국민검찰로 바로 서느냐의 바로미터가 되는 수사”라며 “(어물쩍 넘어간다면) 재앙을 불러일으킬 수 있는 사건”이라고 비판했다.
신경민 최고위원은 “자기부정적 진실은폐 사이클이 진행되고 있다. 무슨 일만 터지면 그런 일 없다, 모르는 일이라고 하다가 개인적인 일이라고 변명을 하다 일부의 일로 간다. 그러다 마지막에는 대선불복이냐고 소리를 지른다”며 “이런 사이클은 국정원 사건, 군 사이버사령부 사건에서 나타났고, ‘채동욱 찍어내기’에서 개인적인 일 단계에 진입돼있다”고 했다.
그는 그러면서 “만약 떳떳하다면 (채 전 총장 사건 관련자들은) 진정으로 조사받는 게 맞아 보인다”며 “여기서 수사의 미래가 좌우될 것이고, 특검으로 갈 것인지 말 것인지가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양승조 최고위원은 비판의 정점을 찍었다. 그는 “박근혜정부 청와대가 11살짜리 아이를 뒷조사한 불법흥신소로 전락했다”며 “결국 (청와대 인사의) 개인일탈로 결론지었는데 국정원, 군 사이버사령부 사건 등 무슨 개인일탈이 그렇게 많나. 박근혜정부는 가히 개인적 일탈 정권이라고 규정해도 될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청와대 행정관이 자의적으로 혼자 (채 전 총장 사건을) 했다는 걸 어느 국민이 믿겠나. 벼룩도 낯짝이 있다”며 “부끄럽지 않나. 손바닥으로 하늘을 가려보라”고 질타했다. 양 최고위원은 박 대통령의 최측근이자 해당 사건을 개인일탈로 발표한 이정현 청와대 홍보수석을 향해 “본인은 자신의 말을 어디까지 믿고 있는지 인간적으로 믿고 싶다”고도 했다.
양 최고위원은 이어 “도대체 박근혜정부에 있어 어디서부터 어디까지가 개인적 일탈이냐”라며 “차라리 5.16군사쿠데타도 한 군인의 개인적 일탈이라고 얘기하라. 그럼 청와대, 국정원, 국방부 등이 말한 일탈들을 모두 인정할 것”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뒤이어 우원식 최고위원은 “개인적 일탈, 지나가던 소도 웃을 일”이라고 비꼬았다.
한편, 박혜자 최고위원은 김종인 전 새누리당 국민행복추진위원장이 곧 당을 탈당할 것이란 소식과 관련, “박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가면이 벗겨지고 있다. ‘박근혜표 경제민주화’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김 전 위원장의 탈당은 결국 박근혜 정권에 경제민주화가 더 이상 없다는 것을 확인해주는 결정판이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박근혜정부가 사실상 토사구팽한 경제민주화 공약은 김 전 위원장뿐만 아니라 비상대책위원회 시절 박 대통령과 함께 했던 많은 인사들이 이미 후퇴했다며 비판에 나서는 상황”이라고 언급한 뒤 “박근혜정부의 경제민주화 공약은 선거에 이용하기 위한 것이었기 때문에 토사구팽일 수밖에 없었고, 그 최후는 이미 정해졌던 것이란 생각”이라고 강조했다.
박 최고위원은 그러면서 여권을 향해 “이제라도 국민에게 사죄하고 민주당이 추진하는 경제민주화 법안을 가로막아선 안 될 것”이라며 “그것만이 국민에게 사죄하는 길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