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정은, 탈북자 봉쇄위해 무산에 저수지 팠다


입력 2013.11.08 09:08 수정 2013.11.10 17:16        김수정 기자

피랍탈북인권연대 "중국 북한 합작 인공저수지 조성"

김정은 "탈북자는 나라망신" 탈북 막기 위해 혈안

함경북도 무산과 접경해 있는 중국 내 탈북자 감시 지역. 인근에 7가구가 살고 있으며 집 주변에 인공 저수지와 철조망이 설치돼 있다. ⓒ피랍탈북인권연대

북한 김정은 체제 이후 탈북자들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북한 당국이 함경북도 무산의 중국 접경지역에 인공 저수지를 조성해 탈북 길목을 봉쇄하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도희윤 피랍탈북인권연대 대표는 ‘데일리안’과의 통화에서 “지금부터 1년여 전 중국과 접경지역인 함경남도 무산 인근에 인공 저수지가 만들어졌다”면서 관련 사진을 공개했다.

도 대표는 “올해 7월 자료 수집을 위해 해당 지역에 사람들을 파견했는데 중국 내 무산 접경지역에 예전엔 없던 인공 저수지가 포착됐다”며 “인근한 중국쪽 국경지대에 7가구 정도의 주택이 있는데 그 주택들과 북한땅 사이에 저수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도 대표에 따르면 과거 무산 지역은 북한에서도 워낙 외곽지역이어서 검문도 삼엄하게 이뤄지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중국과 경계가 애매할 정도로 인접해 있어서 탈북자들의 주요 탈북 루트였다고 한다.

그러나 김정은 체제 이후 탈북자들에 대한 감시가 강화되고, 북한과 중국이 공동경비를 맡고 있는 무산 국경지대에서 탈북자 문제가 계속해서 발생하자 해당 길목을 봉쇄하기 위해 간이 저수지를 만들어 북한 주민들의 이탈을 막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도 대표는 “(해당 저수지가) 중국 측에서 만든 것으로 보이지만 북한이 합작했을 가능성이 농후하다”며 “최근 탈북자 수가 급감한 데에는 북한 주민들에 대한 북한 당국의 감시와 회유책은 물론, 인공 저수지까지 만들만큼 강력한 봉쇄정책을 이어가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정권을 잡자마자 ‘탈북자는 나라 망신이다’라며 탈북자를 다시 잡아들이라는 특별지시를 내린 것으로 전해졌다. 이전에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고난의 행군으로 불리는 대기근 시기를 지내면서 탈북이 비일비재하자 ‘갈테면 가라’는 식으로 함경도를 포기한 것과 대조적이다.

통일부 통계자료에 따르면, 국내 입국 탈북자는 지난 2001년 1044명으로 연 1000명의 벽을 넘긴 이래 해마다 증가해 2009년에는 2929명까지 늘어났다. 이러던 것이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이 집권을 시작한 2011년 2706명으로 감소세를 보이기 시작했다가 2012년과 2013년(9월 입국자 기준)에 각각 1502명, 1041명으로 절반 이상 급감하는 등 뚜렷한 변화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대북전문가들은 김정은의 전방위적인 탈북자 봉쇄 정책이 상당히 실효를 거두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한편, 일부 대북소식통들은 북한 당국이 탈북자의 이탈을 막기 위해 국경지역의 일부 마을을 아예 폐쇄해버리거나 이전보다 비싸진 탈북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탈북자들이 줄어들었다고 주장했다.

회령 출신의 한 탈북자는 “5년 전부터 회령, 무산 등 국경지역마다 폐쇄시키는 마을이 늘어나는 등 통제가 심해지고 있다”면서 “특히 최근에는 감시가 더욱 심해져 탈북에 어려움을 많이 겪고 있다”고 전했다.

또 다른 대북소식통도 “북한당국이 과거에는 국경경비대에 일반 병사들을 보냈는데 김정은 체제 이후 장교들을 포진시켜 감시를 강화시켰다”며 “게다가 김정일 때는 국경지대 도강비용이 한국 돈 100만 원 정도였는데 김정은 체제 들어 600만원으로 껑충 뛰고, 탈북을 방조하는 국경경비대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 일반 주민들이 탈북하지 쉽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면서 “게다가 현재 북한은 내부적으로는 돌아온 탈북자들을 관대하게 대한다고 선전까지 하고 있어 탈북자 수가 계속해서 줄고 있다”고 말했다.

김수정 기자 (hohoki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김수정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