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천막으로" 요원한 국회정상화, 민생은?
3자회담 합의문 도출못해, 민주당 박 대통령에 '사과'만 요구
민주당은 16일 국회 사랑재에서 열린 박근혜 대통령, 황우여 새누리당 대표와의 3자회담에서 초지일관 ‘팽팽한 기 싸움’을 이어가며 정부, 여당과의 어떠한 합의문도 도출하지 못했다. 특히 민주당은 이날 회담에서 ‘국가정보원(국정원) 대선 개입 의혹 사건’ ‘채동욱 검찰총장 감찰사태’와 관련해 박 대통령의 사과를 받아내는 데 총력을 쏟았다. 그러나 민주당은 결국 이날 3자회담에서 이렇다 할 성과를 거두지 못하자 또다시 장외투쟁 카드를 꺼내들고 나서는 등 정기국회 정상화는 지연될 전망이다.
김관영 민주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후 의원총회 직후 열린 긴급최고위원회 내용을 전달하며 “오늘 3자회담에서 박근혜 대통령의 현 정국에 대한 현실 인식이 민심과 심각한 괴리가 있음을 확인했다”며 “국민들의 기대와 달리 불통으로 일관한 박근혜 대통령은 국정의 최고책임자로서 사실상의 회담결렬에 관한 모든 책임을 져야 한다”고 꼬집었다.
김 수석대변인은 이어 “최고위원회는 회담 결과에 매우 격양된 분위기였다”며 “제1야당을 국정의 파트너로 인정하지 않은 박 대통령에게 민주당은 가능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서 그 인식이 잘못되었다는 것을 깨우쳐 주도록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그는 또 “(최고위원회는) 앞으로 민주당의 투쟁전략에 대한 전면적인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였다”며 “당대표는 오늘도 천막당사에서 노숙을 계속할 것이며, 장외투쟁을 이어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이날 최고위원회에 앞서 진행된 의원총회에서 김한길 민주당 대표도 이날 회담과 관련, “아쉽게도 민주주의 밤은 더 길어질 것 같다”며 “옷 갈아입고 다시 천막으로 돌아가겠다”며 장외 병행투쟁의 장기화를 예고했다.
심지어 이날 회의에서 일부 의원들은 ‘국정감사 보이콧’을 거론하는 등 최악의 정쟁상황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것으로 알려졌으며 그동안 원내외 병행투쟁 틀을 바꿔 전면 장외투쟁도 고려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국정원 개혁’ ‘민주주의 수호’라는 명분에도 불구, 민주당은 당 안팎으로 끊임없이 ‘정작 민생에는 소홀한 것이 아니냐’는 지적을 받아왔다. 이 때문에 민주당이 이날 회담을 계기로 또다시 정기국회 일정 합의 지연 등 민생문제는 지연한 채 장외투쟁을 이어간다면 민심의 역풍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이에 대한 당 지도부의 고민이 깊어질 전망이다.
한편, 김 대표는 이날 3자회담에 대해 “불통·비정상을 확인한 만남이었다”며 “많은 얘기가 오갔지만 정답은 하나도 없었다. 박 대통령과 담판을 통해 이 땅에서 민주주의의 회복을 기대하는 것은 무망하다는 결론을 내렸다”고 박 대통령을 향해 십자포화를 쏟아냈다.
김 대표는 당시 회담에서 박 대통령과 주고받은 대화를 언급하며 “1시간 30분 가량의 회담 중 상당시간을 대통령 사과에 대한 공방이 있었는데, (박 대통령은) 몇 가지 논리로 ‘사과할 수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는 또 국가정보원의 대선개입 문제에 대한 박 대통령의 사과에 대해 “(박 대통령은) ‘재판 결과가 나오고 필요하다면 그 때가서 보면 되는 것 아니냐’라고 했다”며 “‘이제까지(이전 정부에서) 국가기관에 관한 것이나 측근비리에 대해 사과한 것은 예외 없이 검찰의 기소단계에서 사과했다. 재판이 완결된 뒤에 사과한 적은 없다’고 지적했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박 대통령이 ‘국정원 댓글사건은 전 정권 일’이라는 입장을 안 굽혀서 내가 ‘전 정권 일이지만 사과해야 한다’고 말했다”며 당시 거듭해서 박 대통령에게 사과를 요구했던 정황들을 소개했다.
아울러 김 대표는 최근 채동욱 검찰총장 감찰 사태와 관련, “회담에서 박 대통령에게 채 총장을 사상초유의 방식으로 몰아내기 한 것과 관련해 법무장관과 청와대 민정수석 관계자들에 대한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했다”며 “이에 대해 박 대통령은 ‘(법무부의 감찰지시는) 법무장관으로서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고만 답변했다”고 비꼬았다.
그는 또 “이어서 내가 ‘당연히 해야 할 일을 한 것이라면 옳고 그름을 가리는 것에 전문가인 검사들이 술렁이고 반발하는 것은 어떻게 설명하겠느냐’고 (박 대통령에게) 재차 따졌지만 박 대통령은 답변을 하지 않았다”고 설명하는 등 이날 회담에서 ‘박 대통령의 사과’에만 주력한 모습이 역력했다.
결국, 이날 양 측 간 회담은 ‘김 대표의 일방적인 사과요구’에 정작 정기국회 일정 협의 등 민생 논의는 뒤처지게 돼 아쉬움을 남겼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