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대책 '훈풍' 오간데 없어, 사정 칼바람 '흉흉'
건설사 16곳, 설계업체 9곳 압수수색
정부의 4·1대책으로 부동산시장에 훈풍이 불고 있지만, 건설업계는 흉흉한 분위기다. 검찰이 '4대강 사업' 공사비리와 관련해 사업에 참여했던 대형 건설사와 설계업체 등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기 때문이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15일 오전 검사 10여명과 수사관 등 200여명을 동원해 건설사 16곳과 설계업체 9곳 등 25개 업체에 대한 수사를 벌였다.
해당 업체는 현대건설·삼성물산ㆍ대우건설·GS건설·포스코건설·대림산업ㆍSK건설ㆍ현대산업개발·금호산업, 쌍용건설·한화건설·계룡건설, 한진중공업, 코오롱글로벌, 경남기업, 삼환기업 등이다.
이처럼 대대적인 압수수색에 건설사들은 당혹감을 감추지 못했다. 이미 지난해 4대강 사업 1차 턴키공사와 관련해 공정거래위원회가 과징금을 물렸고 감사원도 연말부터 조사에 들어간 상태인데 검찰까지 칼날을 들이미니 정신을 못 차리겠다는 반응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4대강과 관련한 수사가 들어올 수도 있겠다 싶긴 했지만 이렇게 대대적으로 진행할 줄은 몰랐다"며 "4·1부동산대책이 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으면서 숨 좀 돌리나 했는데 이런 일이 터지니 답답하다"고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 역시 "4대강만 생각하면 잠이 안 온다"며 "지난해 1차 턴키공사 담합으로 과징금을 물린 데 이어 연초에는 4대강 보 부실논란, 이번에는 검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사까지 연달아 터지고 있다. 공사해서 남은 거라곤 기업 이미지 실추뿐이다"고 한탄했다.
한편 검찰은 이들 업체의 토목사업본부와 지사 등에서 관련 문건, 입찰 협상 자료, 컴퓨터 하드디스크 등을 확보했다.
검찰 관계자는 "시민단체가 고발한 입찰 담합 혐의 입증에 필요한 범위에 한해 압수수색을 벌였다"고 전했다.
하지만 업계는 향후 수사 과정에서 사건이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는 건 아닐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 있다. 입찰 담합 수사로 시작했지만, 불법 비자금이나 뇌물 공여, 횡령, 조세포탈 의혹 등이 드러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일각에서는 대형 경제사건 수사의 경우 기업체들이 불법 조성한 비자금을 찾아내면서 전혀 다른 방향으로 번져나가는 일이 비일비재해 이번 사건도 가능성이 있다는 분위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