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기도, 도내 거주 27~39세 절반 이상 '미혼'


입력 2025.04.07 09:30 수정 2025.04.07 09:30        윤종열 기자 (yiyun111@dailian.co.kr)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 공표

1983~1995년생 미혼율 56.7%… 남성 64.5%

경기도는 2022년 기준 도내에 거주하는 27~39세(1983~1995년생)의 56.7%가 미혼인 것으로 나타났다고 7일 밝혔다.


도는 이런 내용을 담은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공표했다. 이는 통계청 인구동태코호트 데이터베이스(DB)를 활용한 전국 최초 승인통계다.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에 따르면 도내에 거주하는 1983(39세)~1995(27세)년생 233만6000명 중 56.7%가 미혼이다. 성별로는 남성의 미혼율이 64.5%로 여성(48.1%)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30세 미혼율은 2015년 61.6%에서 2022년 76.1%로 7년만에 14.5%포인트 급증했는데 특정 나이(세대)에서의 급증이 아니라 지속적으로 미혼율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만혼과 비혼 현상을 통계에서 정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출생신고서를 바탕으로 경기도 1983~1995년생 여성의 출산현황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2022년 기준 출생자녀가 없는 경우가 60.2%로 나타났다. 결혼을 했어도 출산을 하지 않는 ‘기혼 무자녀 여성’도 24.3%로 나타나 결혼과 출산이 더 이상 일반적인 선택이 아님을 알 수 있었다.


경기도 1983~1995년생 부모의 육아휴직 현황도 통계에서 확인가능하다.

1983~1995년생 부모 중 육아휴직을 사용(2015~2022년)한 사람은 22.7%로, 열명 중 두명꼴로 육아휴직을 사용해 육아휴직제도가 잘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용자의 다수가 여성이고, 대기업과 공공부문에 종사하는 부모의 육아휴직 사용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나 제도 활용의 불균형을 보여주기도 했다.


통계 작성에 활용된 인구동태코호트DB(데이터베이스)는 출생·사망·혼인·이혼 4종의 통계DB를 출생기준으로 상호연계한 자료로, 현재 통계청에서 1983~1995년생의 인구동태사건을 2022년까지 구축해 제공 중이다.


경기도 인구정책담당관은 통계청 인구동태코호트DB에 각종 통계등록부를 결합해 경기도 거주 1983~1995년생의 혼인·출산·육아휴직 현황을 파악하는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개발했다.


도는 ‘경기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기반으로 ‘시군별 청년세대 가족형성통계’를 추가적으로 개발해 시군 인구정책수립을 지원할 계획이다.

윤종열 기자 (yiyun111@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