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 새 7000가구 넘게 증가…전국서 가장 많아
평택 늘고 의정부 줄어…남·북부간 격차 커져
지난해 경기도의 미분양 물량이 전국에서 가장 많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전반적인 공급 감소로 미분양은 차츰 해소될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역별로는 온도차가 있을 전망이다.
30일 부동산R114에 따르면 지난해 12월 전국 미분양 물량은 7만173가구로 1년 전(6만2489가구)보다 7684가구 증가했다.
이 중 경기도는 5803가구에서 1만2954가구로 7151가구 늘어 전국에서 가장 큰 폭의 미분양 증가세를 보였다. 전국 17개 시도 지역 중 2000가구 이상 증가한 것은 경기도뿐이다.
지역별로 보면 평택 등 남부 지역 위주로 미분양이 증가한 반면 북부 지역은 비교적 미분양을 잘 해소해 나가는 추세다.
지난 2023년 말 430가구에서 지난해 말 4071가구로 3641가구가 증가한 평택의 미분양이 경기도에서 가장 많이 늘었다. 평택은 최근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되며 신규 공급이 줄어들 전망이어서 올해에는 미분양을 차츰 줄여나갈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도 1908가구가 증가한 이천을 비롯해 오산(994가구)·광주(676가구)·광명(356가구) 등 한강 이남 지역들이 평택의 뒤를 이었다.
반면 지난 2023년 말 미분양이 896가구 있었던 의정부는 2024년 말 540가구로 356가구가 줄어 전국에서 미분양이 가장 많이 해소됐다.
의정부는 지난해 총 5개 단지, 1178가구가 신규 분양했는데 5개 단지 모두 1순위 청약에서 1배수를 채우지 못했으나 꾸준히 계약을 성사시키며 미분양 물량을 줄이는 데 성공했다.
의정부와 인접한 양주 역시 941가구에서 730가구로 211가구가 줄어 전국에서 3번째로 많은 미분양 감소가 있었다.
지난해 총 2405가구로 의정부보다 2배 이상 많은 물량을 쏟아냈지만 양주 역세권에 분양한 ‘양주역 푸르지오 센터파크’(일반분양 718가구)가 계약 한 달 만에 완판에 성공하면서 미분양 증가를 막았다.
양주는 올해에도 역세권 등 인기 지역에 분양이 예정돼 있어 지난해에 이어 순조로운 미분양 감소가 예상된다.
의정부와 양주를 포함해 김포(-314가구), 화성(-130가구), 연천(-91가구), 용인(-72가구), 동두천(-41가구), 남양주(-36가구), 성남(-29가구), 양평(-2가구) 등 총 10개 지역에서 미분양이 줄었다.
업계 전문가들은 올해 공급 감소로 인해 지역별로 분위기가 크게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내다 보고 있다.
업계 한 전문가는 “이미 지난 1~2월에 그야말로 역대급 공급 가뭄이 있었던 데다 현재 정치 이슈로 인해 갑작스럽게 대선 정국이 시작될 가능성이 있어 시장 분위기가 급변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복잡한 사회 분위기에 분양성이 낮은 지역에서는 선뜻 공급에 나서지 못할 가능성이 높으며 공급 감소 속 ‘똘똘한 한 채’를 찾는 수요자들이 굵직한 개발 호재로 미래 가치가 높은 지역에 몰릴 것”이라고 예상했다.
제일건설은 오는 4월 경기도 양주시 양주역세권에서 ‘양주역 제일풍경채 위너스카이’를 분양한다. 단지는 수도권 1호선 양주역과 가까운 초역세권 입지로 40층의 초고층 설계를 통해 뛰어난 조망권을 갖춘 것이 특징이다. 지하 3층~지상 40층, 4개 동, 총 702가구 규모로 전용면적 70㎡, 84㎡, 101㎡ 등으로 구성된다.
김포에서는 롯데건설이 이달 ‘풍무역 롯데캐슬 시그니처’ 분양에 나선다. 김포골드라인 풍무역이 도보권에 있어 마곡까지 30분대면 갈 수 있다. 상암과 여의도 등 주요 업무지구로도 출퇴근이 편하다. 지하 4층부터 지상 28층, 9개 동, 전용면적 65㎡, 75㎡, 84㎡ 총 720가구 규모로 조성된다.
현대건설이 4월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용인 남사(아곡)지구 7BL에 ‘힐스테이트 용인마크밸리’를 분양할 예정이다. 이 단지는 지하 2층~지상 최고 27층, 7개동 전용면적 84㎡~182㎡, 총 660가구로 조성된다. 첨단 시스템반도체 국가산업단지(예정)와 용인반도체클러스터와 가까운 입지에 들어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