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청소년 10명 중 4명 스마트폰 ‘과의존’…유아동도 25.9% 해당


입력 2025.03.27 12:00 수정 2025.03.27 12:00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과기정통부, 스마트폰 과의존 등 실태조사 발표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 청소년 42.6% 달해

연도별·연령대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청소년 10명 중 4명은 스마트폰에 과의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만3세에서 9세 또한 10명 중 2명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에 속했다.


27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년 디지털 정보격차·웹 접근성·스마트폰 과의존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스마트폰 이용자 중 과의존 위험군(고위험군+잠재적위험군)의 비율은 22.9%로 전년(23.1%) 대비 0.2%p 감소했다.


연령대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을 살펴보면, 청소년(만10~19세) 비율이 가장 높았다. 청소년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42.6%로 전년보다 2.5%p 상승했다.


이어 유아동이 2위를 차지했다. 유아동(만3~9세)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5.9%로 전년 대비 +0.9%p 증가했다.


이외에 성인(만20세~59세)은 22.4%로 전년 대비 0.3%p 감소, 60대 11.9%로 전년 대비 1.6%p줄었다.


과의존 위험군은 영화/TV/동영상, 메신저, 관심사 검색, 음악 등 순으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일반사용자군은 메신저, 영화/TV/동영상, 뉴스보기, 관심사 검색 등의 순으로 이용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취약계층의 디지털 정보화 수준은 평균 77.5%로 전년대비 0.6%p 개선됐다. 장애인·고령자 등의 웹사이트의 접근성 수준은 66.7점으로, 작년보다 0.9점 상승했다.


디지털 접근 수준은 96.5%(전년비 보합), 디지털 역량 수준은 65.6%(전년비 +0.5%p), 디지털 활용 수준은 80.0%(전년비 +1.0%p)으로 모든 부문에서 전년과 같거나 상승한 결과를 보였다.


계층별 디지털 정보화 수준도 고령층이 71.4%(전년비 +0.7%p), 농어민 80.0%(전년비 +0.5%p), 장애인이 83.5%(전년비 +0.7%p), 저소득층이 96.5%(전년비 +0.4%p) 순으로 나타나 모든 계층에서 정보화 수준이 향상됐다.


스마트폰 이용량에 대한 조절력이 약화되거나 통제력이 상실되는 과의존 위험군 비율은 22.9%로, 전년 대비 0.2%p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웹 접근성 전체 평균 점수는 66.7점으로 전년 대비 0.9점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부터 꾸준히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업종별로 살펴보면,‘교육서비스업’분야 웹사이트가 76.9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전년과 마찬가지로‘부동산업’분야 웹사이트가 60.5점으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다.


규모별로 살펴볼 때, 50~99명 규모의 사업체가 76.4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나머지는 종사자 수가 많은 사업체일수록 웹 접근성 수준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김소희 기자 (h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