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란 국조특위 5차 청문회 참석…野의원 질의 답변
"계엄 전 국정원장-김 여사 간 문자 최근에야 확인"
비선 지목 전 국군 정보사령관 다방면으로 수사 중
이진동 대검찰청 차장검사는 25일 정치 브로커 명태균씨 연루 의혹과 관련 윤석열 대통령과 김건희 여사 소환 조사 여부에 대해 "처음부터 다시 결정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차장은 이날 국회에서 열린 '윤석열 정부의 비상계엄 선포를 통한 내란 혐의 진상규명 국정조사 특별위원회'의 5차 청문회에서 윤 대통령 부부 소환 조사 여부를 묻는 민병덕 더불어민주당 의원 질문에 "아직 검토된 바는 없고, 소환을 안 하겠다고도 결정된 게 없다"며 이 같이 말했다.
민 의원은 이 자리에서 지난해 11월 명씨 사건 수사팀 검사 8명이 김 여사 수사 필요성을 담은 수사보고서를 작성하고 연대서명했다며 수사를 적극 지원하라고 요청하기도 했다.
이 차장은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이 비상계엄 선포 무렵 김 여사와 문자메시지를 주고받은 것과 관련해 수사를 촉구하는 말엔 "그건 저희도 최근에 안 사실"이라며 "모든 수사는 철저히 수사할 예정"이라고 답했다.
비상계엄 기획 '비선'으로 지목된 노상원 전 국군 정보사령관의 수첩 기재 내용에 대한 수사가 부진하다는 지적에 대해선 "노씨를 불러서 조사를 여러 번 했는데, 다른 피의자들과 다르게 계속 진술을 거부하고 있어서 다방면으로 수사 중"이라고 설명했다.
경찰이 노 전 사령관의 수첩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에 보내 필적 감정을 의뢰했지만 '감정 불능' 판정을 받은 것과 관련해선 "저도 수첩을 봤는데 워낙 날아가는 글씨가 돼 있어서 아마 감정이 어렵지 않나 하는데 (감정을) 다시 한번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이 차장은 경찰이 신청한 김성훈 대통령경호처 차장 구속영장을 서울서부지검이 거듭 기각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비화폰 서버' 압수수색을 막고 있는 것 아니냐는 비판엔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이 차장은 "경호처 차장에 대한 범죄사실은 윤 대통령에 대한 체포영장을 방해했다는 혐의와 직권남용"이라며 "자세한 내용은 말씀을 못 드리지만 (경찰이 신청한 구속영장을) 기각할 때는 충분한 사유가 있어서 한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