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로학원, 2023학년도 서울대·고려대·성균관대 정시 합격생 대상
수능 국어·수학·탐구영역 백분위 평균 70% 합격선 분석 결과
고려대 95.1점, 성균관대 94.5점…서울대 94.3점에 그쳐
서울대 자연계열, 올해 1점 이상 하락…고려대는 1.1점 올라
서울대 순수 자연계열 정시 합격점수가 이과 최상위권 학생들의 '의대 쏠림' 현상 심화로 인해 고려대보다 낮아졌다는 분석이 나왔다.
2일 연합뉴스에 따르면 종로학원은 2023학년도 서울대와 고려대, 성균관대 정시 합격생의 수능 국어·수학·탐구영역 백분위 평균 70% 합격선을 분석한 결과, 의약학 계열을 제외한 순수 자연계열 일반전형에서 서울대는 93.9점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고려대(94.9점)보다 낮은 결과다.
서울대 자연계열은 지난해까지 95점대를 유지했는데, 올해 입시 결과에서 1점 이상 떨어졌다. 구체적으로 2020학년도는 95.0점, 2021학년도 95.1점, 2022학년도 95.0점이었다. 반면 고려대는 2022학년도 93.8점에서 올해 94.9점으로 1.1점 올랐다.
연세대는 백분위 점수가 아닌 자체 환산점수를 발표해 대학 간 비교에서 제외했다.
서울대 자연계열은 다른 대학과 비교해 과학탐구2 과목을 필수로 지정했고 지난해부터 학교 내신이 반영됐다는 점이 변수로 작용했을 수 있다. 종로학원은 하지만 이보다는 의약학계열 쏠림 현상이 영향을 끼친 결과일 것으로 본다. 서울대 자연계열에 합격한 학생이라면 이과 최상위권이기 때문에 타 대학 의약학 계열에도 합격한 뒤 이동했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종로학원은 또 "고려대 자연계열에 지원하는 학생의 경우 서울대보다는 상대적으로 의약학계열로 지원하는 학생 수가 적어 원래 패턴대로의 합격선이 나온 것 같다"고 분석했다.
의약학 계열은 서울대, 고려대, 성균관대 모두 정시 합격선이 대체로 상승했다.
2023학년도 정시 합격 합격선(국수탐 백분위 평균 70% 기준)은 서울대 의예과의 경우 99.3점(전년 대비 0.1점 상승), 치의학과 99.0점(2.0점↑), 수의예과 97.3점(0.5점↑), 약학계열 95.8점(0.2점↓)였다.
고려대 의대는 99.4점(1.4점↑), 성균관대 의대는 99.4점(0.4점↑), 약학 97.7점(0.9점↑) 등으로 나타났다.
의약학 계열을 합친 자연계열 전체 학과의 합격선으로 보면 서울대가 94.3점으로 고려대(95.1점)와 성균관대(94.5점)보다 낮게 나타났다.
인문계열은 학교별 순위에 변동이 없었는데 2023학년도 입시에서 서울대가 95.7점으로 가장 높았으며, 고려대 94.1점, 성균관대 92.0점 등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인문계열 일반전형 기준 1위는 정치외교(98.5점)였으며, 인문계열 및 농경제사회과학부, 경제학부, 자유전공학부 순으로 나타났다.
서울대 순수 자연계열 일반전형(의약학계열 제외)에서 1위는 수리과학부(97.8점)였으며 통계학과, 의류학과가 뒤를 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