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강공' 택한 대통령실…'발언 논란' 보도 놓고 전면전 예고


입력 2022.09.27 03:00 수정 2022.09.26 23:59        최현욱 기자 (iiiai0720@dailian.co.kr)

尹 "사실과 다른 보도로 동맹 훼손해 국민 위험"

'진상 규명' 의지 피력하며 MBC·野 상대 전면전

불분명 의혹 성과 덮어…"강력 대응 필요" 제기

與, 최초 보도 MBC 강력 비판…"악의적으로 자극적 보도"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뉴시스

대통령실이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뉴욕 순방 기간 중 불거진 '발언 논란'에 대해 강공 모드를 택한 모습이다. 야권으로부터 제기된 의혹 제기를 '사실무근'으로 일축하고 진상 규명에 대한 의지를 언급하며 전면전 양상이 펼쳐질 전망이다.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26일 오후 서울 용산 청사에서 브리핑을 열고 "순방 외교와 같은 국익을 극대화하기 위한 총성 없는 전쟁에서 허위 보도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직결되는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더욱이 동맹을 희생하는 것은 국민을 위험에 빠뜨릴 수 있는 일로, 그 피해자는 다름 아닌 국민"이라 언급했다.


이는 같은날 오전 윤 대통령이 출근길 도어스테핑에서 내보인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윤 대통령은 이날 도어스테핑에서 "사실과 다른 보도로 이런 동맹을 훼손한다는 것은 국민을 굉장히 위험에 빠뜨리는 일"이라며 "그 부분을 먼저 얘기하고 싶고, 그와 관련된 나머지 얘기들은 먼저 이 부분에 대한 진상이라던가 이런 것들이 더 확실하게 밝혀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뉴욕 순방 기간 참석했던 글로벌 펀드 조성 회의에서 미국 의회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을 향해 비속어가 포함된 부적절한 취지의 발언을 했다는 주장을 전면 부인하며, 이같은 상황이 초래된 배경에 대해 사실관계를 살피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작심한 듯 "전세계의 2~3개 초강대국을 제외하고 자국 국민들의 생명과 안전을 자국의 능력만으로 온전하게 지킬 수 있는 국가는 없다"며 "그래서 자국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는 데 동맹이 필수적"이라 강조하기도 했다.


앞서 해당 논란이 불거진 이후 정치권 일각에서는 윤 대통령이 사과 혹은 유감 표명을 통해 진화에 나서야 한다는 목소리가 제기된 바 있다. 하지만 윤 대통령과 대통령실 모두 이같은 목소리에 물러서지 않고 '진상 규명'이라는 역공 카드를 선택하며 확전이 불가피해진 모습이다.


대통령실이 이같은 입장을 굳힌 이유는 순방 초기부터 윤 대통령이 故 엘리자베스 2세 영국 여왕 장례식 현장에서 홀대를 당했다는 등의 가짜뉴스가 쏟아진 것에서 기인한다는 평가다. 무분별한 의혹 제기로 인해 순방 초반부터 흔들렸던 여론이 뉴욕에서 불거진 '발언 논란'에서 정점을 찍으며 각종 경제·외교 성과를 덮자, 이를 정면돌파하기 위한 강도 높은 대응이 필요하다는 기류가 형성된 것으로 파악된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이날 브리핑에서 해당 사태가 발생한 이후 최초 입장이 나오기까지 15시간이 걸리며 논란 확대를 자초한 것 아니냐는 취지의 질문에 "만약 모두가 '사실'이 무엇인지를 기다렸다면 그런 시간은 필요하지 않았다. 특정 단어가 알려지고, 그것이 아님을 확인하는 데 훨씬 더 많은 시간이 걸린 것"이라며 "15시간 이후에 해명한 것이 아니라 순방 기간의 아까운 15시간을 허비했다"고 허탈감을 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26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로 출근하며 영국·미국·캐나다 순방에 대한 소회를 밝히고 있다. ⓒ뉴시스

순방 기간 동안 대부분의 윤 대통령 외교 일정을 지근거리에서 보좌했던 박진 외교부장관도 같은날 오후 JTBC '뉴스룸'에 출연해 "(논란의 발언이 있었던) 글로벌 펀드 행사가 1시간30분 지체됐다. 이후 뉴욕대에서 행사, 바이든 대통령 주최 리셉션이 있었고, 마이클 블룸버그 전 유엔 기후행동특사가 주최하는 만찬이 있었다. 전부 소화한 후 호텔에 오니 오후 11시였던 것"이라 설명했다.


그러면서 "(관련 논란에 대해) 저도 모르고 아마 윤 대통령도 몰랐을 것"이라며 "밤늦게 호텔에 와서 관련 된 분들이 모여 여기에 대해 이런 일이 있었다는 걸 알았다"고 전했다.


윤 대통령의 발언 당시 바로 곁에 있었던 박 장관은 "사람들이 굉장히 많았고, 여러 가지 소음이 많았기 때문에 (발언을 듣지 못했다)"라고 강조했다.


이처럼 불분명한 의혹제기와 야당의 공세에 맞불을 놓은 대통령실의 화살은 단순히 야당뿐 아니라 언론을 겨냥할 것으로 관측된다. 특히 윤 대통령이 자신의 입으로 직접 밝힌 '진상 규명'의 대상은 사실상 '발언 논란'을 최초로 보도했던 MBC를 겨냥했다는 분석이 많다.


당초 카메라에 포착된 윤 대통령의 "국회에서 이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OOO이 쪽팔려서 어떡하나"라는 발언에서 'OOO' 부분이 불분명하게 들려 특정 단어를 단정짓기 어렵다는 평가가 주를 이루는데도, MBC가 '바이든'이라는 자막을 달아 선제적으로 보도함으로서 논란이 일파만파 눈덩이처럼 불어났다는 것이다.


이같은 대통령실의 기조에 발맞춰 집권여당 국민의힘이 대대적인 공세에 나서는 모습이다. 이미 당 차원에서 보도 관련자들에 대한 명예훼손 혐의 고발, 언론중재위원회 제소 및 손해배상 청구, 방송통신심의위원회 제소 등도 예고하며 "특별한 게 없으면 내일 직접 항의 방문하는 계획을 협의할 것"이라며 강력한 대응에 나서겠다는 방침을 강조했다.


주호영 원내대표는 이날 비상대책위원회의에서 MBC를 직접 거론하며 "자의적이고 자극적인 자막을 입혀 보도했으며 의도적이고 악의적으로 했을 확률이 대단히 높다"고 지적했고, 박정하 수석대변인 또한 "정언유착 의혹을 지울 수 없다"고 민주당과 MBC의 유착 관계에 의심의 눈초리를 보내기도 했다.


보도의 당사자인 MBC는 입장문을 내 국민의힘 측이 제기한 이른바 '정언유착' 의혹에 대해 음모론이라며 강력하게 반발했다. MBC는 "좌표 찍기를 통한 부당한 언론 탄압에 강력히 유감을 표하며, 이에 굴하지 않고 의연하게 진실 보도를 해나가겠다"고 전했다.

최현욱 기자 (iiiai072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1
0
관련기사
최현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