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확진·격리자 사전투표 규모 집계 안돼…"통합명부서 관리"


입력 2022.03.06 16:35 수정 2022.03.06 16:35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선관위 "확진자 명부 따로 받지 않아…문자로 확인 후 투표"

'본인여부 확인서' 근거로 추산 가능성…상당한 시간 소요 전망

제 20대 대통령선거 사전투표가 시작된 지난 4일 오전 서울 용산구 서울역에 마련된 남영동사전투표소에서 시민들이 투표를 하고 있다. ⓒ데일리안 류영주 기자

코로나19 확진·격리자의 사전투표가 관리 부실로 큰 혼란을 빚은 가운데 이들 확진·격리자의 정확한 규모를 파악하기가 쉽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20대 대통령선거에서 아주 근소한 차이로 당락이 갈린다면 확진·격리자 투표분이 향후 정치적 후폭풍의 빌미가 될 수 있다는 관측도 제기된다.


6일 연합뉴스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코로나 확진자·격리자 투표가 시작된 전날 오후 5시부터 투표 마감 시각까지 사전투표에 참여한 유권자는 모두 99만630명이다.


여기에는 오후 5시 이후 투표한 일반 유권자와 확진자, 격리자가 뒤섞여 있다. 5일 0시 기준으로 투표권이 있는 확진·격리자를 포함한 재택치료자수는 총 102만5973명이다. 이중 확진·격리 유권자의 규모는 아직 정확히 파악되지 않고 있다.


선관위는 99만630명 중에 코로나19 확진자와 격리자가 몇 명인지 집계하는 게 당장은 불가능하다는 입장이다.


선관위가 코로나 확진자나 격리자의 명단을 따로 전달받지 않았고, 전체 선거인단이 있는 '통합명부시스템' 안에서 확인해 투표하게 했기 때문이다.


확진자·격리자가 보건소로부터 받은 투표 안내 문자를 제시, 본인 여부 확인서를 작성하면 투표 사무원이 통합명부시스템에 있는 선거인인지 확인한 후 투표하는 방식이다.


확진자가 문자를 제시했다고 해도 선거인단 명부에 '확진자' '격리자'라고 별도 표시하지는 않는다. 명부시스템에서 바로 파악할 수 있는 구조가 아니라는 이야기다.


코로나 확진자·격리자의 경우 기표 전 '본인여부 확인서'를 썼기 때문에 추후 대략적인 규모 정도는 파악할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온다.


다만 사전투표소가 3552곳이고 선관위가 당장 이를 취합하고 있지 않아, 향후 집계 절차를 밟더라도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으로 보인다.


앞서 지난 4·7 재보궐 선거에서는 정부가 격리자에 한해 사전 신청을 받아 투표하게 했고 시간도 오후 8시 이후에 투표했기 때문에 격리자 투표분이 집계가 됐다. 21대 총선도 같은 방식으로 진행됐다.


이번에는 확진자 폭증에 사전신청과 별도 명단 작성 등 절차를 거치지 않았다.


부실 관리 논란이 인 확진·격리자 투표분 규모가 '깜깜이'가 되면서 결국 관련 논란이 자칫 향후 논란의 불씨가 될 수도 있다.

조인영 기자 (ciy810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