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文대통령과 통화 미루는 기시다…日도 선거에 韓 이용


입력 2021.10.13 13:01 수정 2021.10.13 15:20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미국‧호주‧러시아‧중국‧인도 '1순위 그룹'

중의원총선 앞두고 '보수표심 의식' 해석

스가 전 총리는 '취임 9일'만에 전화통화

기시다 후미오 총리가 9월 29일 도쿄에서 열린 자민당 총재 선거의 승자로 발표된 후 연설하고 있다. ⓒAP 뉴시스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가 취임 후 각국 정상과 전화통화 외교를 이어가면서 한국은 뒷전으로 미루고 있다. 정상외교 순서는 해당 국가가 상대국을 얼마나 중요하게 여기는지 여부를 가늠할 수 있는 대표적인 척도로, 냉각된 한일관계의 단면을 보여준다는 지적이다.


기시다 총리는 지난 4일 취임한 직후 5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 7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8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와 잇따라 통화했다.


전임 스가 요시히데 총리 때는 취임 9일째 되는 날에 한일정상 통화가 이뤄진 것에 비하면, 이번엔 '2순위 그룹'으로 밀렸다는 분석이다. 당시 스가 총리는 중국이나 러시아 보다 먼저 문재인 대통령과 통화했다.


외교가에선 기시다 총리가 오는 31일 예정된 중의원 선거에서 '보수층 표심'을 의식해 문 대통령과의 전화통화 순번을 뒤로 미뤘다는 분석이 나온다. 기시다 총리가 외교노선에서 온건파 이미지를 불식시키기 위해 한국과의 전화 통화 순서를 일부러 늦췄다는 것이다.


실제 니혼게이자이신문은 12일 일본 외무성과 총리실이 기시다 총리가 조기에 통화할 국가 그룹에 한국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좋겠다는 인식을 같이 했다고 보도했다. 닛케이는 정상통화 순서를 늦춰서 한국과의 외교에서 약한 모습을 보일 수 있다는 일각의 우려를 떨쳐내려는 것이라고 해석했다.


'독도 영유권' 주장하며 노골적 반한감정 부추겨


현재 일본 집권 자민당은 총선을 앞두고 독도 영유권 주장을 반복하는 등 반한 정서를 선거에 이용하겠다는 노골적인 의도를 드러내고 있다. 우리 정부여당이 선거를 앞두고 '죽창가'를 부르며 국민들의 반일감정에 불을 지핀 것과 비슷한 양상이다.


13일 교도통신 등에 따르면 자민당은 공약집에서 독도가 일본 영토라는 주장을 내놓으며 "고유 영토를 단호히 지키기 위해 역사적·학술적 조사 연구를 한층 심화하는 등 국내외를 대상으로 전략적인 홍보 강화를 추진하겠다"고 했다.


여기에 자민당은 외교·안보 분야 공약에서 '보편적 가치를 공유하는 파트너'로 호주, 인도, 유럽과 함께 대만을 적시하면서도 한국을 언급하지 않았다.


앞서 기시다 총리는 지난 8일 첫 소신표명 연설에서 "현재 한국과 관계는 매우 심각하다"면서 "다시 건전한 관계로 돌아가기 위해 우리의 일관된 입장을 바탕으로 한국 측에 적절한 대응을 요구할 것"이라고 했다.


이와 관련 진창수 세종연구소 일본연구센터장은 "최근 일본의 한국에 대한 인식은 여전히 부정적이며 2012년 이전의 호감도를 회복하지 못하고, 부정적인 이미지가 정착하면서 우파 정치인이 이용하기 좋은 정치환경이 만들어졌다"면서 "여론이 긍정적으로 개선되지 않는 한 기시다 정권도 한일관계에서 전향적으로 나오기는 어려울 것"이라고 분석했다.


진 센터장은 "내년 7월 참의원 선거이후 기시다정권이 안정되어야만 한일관계를 고려하는 정치 상황도 도래할 수 있다"면서 "한일 모두 자신의 태도를 되돌아보면서 지금부터라도 적극적으로 한일관계의 해법을 제시해야 하며 비판적인 한일 여론을 친구로 만드는 작업을 병행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충재 기자 (cjlee@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이충재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