野, 회의 안건과 무관하다며 퇴장
표절 의혹 장관 임명 강행한
'文 내로남불' 지적하기도
추가경정예산안과 법률안을 심사하기 위해 열린 국회 교육위원회 전체회의가 여야 공방 끝에 파행됐다.
여당이 윤석열 전 검찰총장 부인인 김건희씨의 논문 표절 의혹과 관련해 교육부 차원의 감사를 요구하자 야당은 회의 안건과 무관한 내용이라며 크게 반발했다.
회의 파행의 단초를 제공한 것은 강민정 열린민주당 의원이었다. 강 의원은 김씨 논문 제목에 포함된 '회원 유지'라는 문구가 'member Yuji'로 번역됐다는 점을 언급하며 "이 논문이 얼마나 부실한지 '유지 논문'이라는 별칭까지 얻게 됐다"고 말했다.
강 의원은 "부실 논문이 김씨의 (국민대) 박사학위 근거가 됐고, 이 박사학위를 기초로 대학교수로 강의를 5년 이상 나갔다"며 "다른 학생의 박사학위 심사까지 했는데, 국민대와 학회, 학술지 그리고 박사학위 인증 과정에 대해 교육부가 특정감사를 해야 하는 것 아니냐"고 밝혔다.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유지'라는 표현이 "번역기가 잘못 인식했을 때 한글로 나온 것"이라며 "이걸 듣는 국민들은 부글부글 끓는다. 이해가 안 가는 것은 이렇게 석박사(학위)를 받은 분이 학위 논문 심사위원으로 들어갔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유은혜 교육부 장관은 범여권 의원들의 잇따른 문제 제기에 "국민대 자체조사가 진행 중"이라며 "필요한 후속 조치가 있어야 한다고 판단되면 예외 없이 동일한 기준을 갖고 원칙적으로 취할 것"이라고 말했다.
야당 의원들은 김씨 논문 표절 의혹이 회의 주요 안건에 해당하지 않는다며 강하게 반발했다. 야당 반대를 무릅쓰고 논문 표절 의혹이 있는 장관을 임명 강행한 문재인 대통령의 '내로남불'도 지적했다.
조경태 의원은 "문재인 정부 들어와서 석박사 논문표절 의혹이 있는 장관들이 많이 임명됐다"며 "의혹이 있는 장관 먼저 해임시키고 나서 이런 주장을 하는 것이 논리적으로 타당하지 않느냐"고 꼬집었다.
정경희 의원은 "추경과 관련 없는 범야권 대선후보에 관한 비방 발언이 계속되고 있어서 더 이상 듣는 것이 무의미하다"며 "더 이상 회의에 참석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겠다"고 말했다.
실제로 교육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은 정 의원 발언 이후 모두 퇴장했다.
박찬대 민주당 간사는 "추경이 급박하기 때문에 추경만 심의하자고 이야기하는 부분은 야당의 주장일 수 있다"면서도 "반드시 그것을 전제로 교육위가 열려야 한다고 하면 입법기관인 국회가 그 임무를 다하지 못하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