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는 많은데 충전소는 부족…연구개발 활성화 절실
정부 지원 활용에만 집중…균형 잡힌 정책 도입돼야
한국이 높은 수소차 경쟁력에도 불구하고 관련 인프라는 열악해 보완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수소의 생산과 저장, 운송 부문 기술 확보가 절실하다는 설명이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8일 국내 수소 경제 현황과 과제를 분석하고 수소 경제 정책이 연구개발(R&D)을 통한 원천기술 확보와 인프라 구축 확대에 집중해야 된다고 밝혔다.
한국 수소 경제는 활용(수소전기차, 연료전지발전 등) 분야에서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다. 한국은 2019년 승용부문 수소전기차 보급 대수가 4,194대로 전 세계 1위를 기록했다.
수소연료전지 발전량도 408MW로 1위이다. 현대자동차는 세계 최초로 수소트럭 양산 체계를 갖추고 2025년까지 10톤급 수소트럭 1600대를 스위스에 수출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다.
하지만 전경련은 수소 산업 투자가 활용 분야에 지나치게 쏠려 있고, 기술력 역시 미국과 일본, 독일 등 선진국에 비해 뒤쳐져 있다고 분석했다.
실제 전 세계 수소 경제 관련 특허 출원 중 한국의 비중은 8.4%로 약 30%인 일본 등 주요국에 비해 낮다.
또한 높은 수소차 보급량에 비해 충전소가 일본의 30% 수준에 불과하여 소비자들의 불편과 불만이 높은 상황이다.
현재 초기 단계인 수소 경제 구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정부 연구개발 역시 최근 5년(‘16~‘20) 간 52%가 수소 활용 분야에 편중되고 있다. 수소 생산과 인프라 부문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 비중은 각각 22.9%와 12.9%에 불과하다.
주요국은 수소 생산기술 개발, 해외 수입 등을 통한 수소 확보와 충전소, 파이프라인 등 인프라 구축에 주력하고 있다.
전경련은 한국이 수소 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드맵을 갖추었으나 수소 산업 생태계가 수소 활용 분야에 치중되어 있다는 점을 지적하고 생산-저장·운송 부문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수소 경제 구축의 목표 중 하나가 에너지 자립에 있는 만큼 자체적인 수소 생산 기술 확보가 중요하다는 설명이다.
유환익 전경련 기업정책실장은 “한국이 강점을 가지고 있는 수소 활용 분야에서 지속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이를 뒷받침하는 수소 확보와 인프라 구축이 필수”라며 “정부는 수소 생산, 인프라 부문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를 늘리고 수소충전소 확충과 더불어 공공부문의 수소차 구입을 늘려 초기 시장 구축에 나서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수소위원회에 따르면 2050년 수소는 최종 에너지 소비량의 18%를 차지하고 4억대의 승용차와 2000만대의 상용차가 활용될 전망이다. 이는 전 세계 자동차 시장의 약 20%에 해당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