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임대사업자 7만명 신규등록…작년 比 52% 증가
국토교통부는 지난달에만 6914명이 임대사업자로 등록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52.4%, 전월 대비 18.7% 증가했다고 13일 밝혔다. 지난달 등록된 임대주택 수는 2만851채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28.2%, 전월보다 18.7% 늘어났다.
특히, 올해 세법 개정안에 등록 사업자에 대한 세제혜택이 구체화되면서, 사업자 등록추세가 더욱 빨라질 전망된다.
지난달 등록한 임대사업자 수는 6914명으로, 작년 한해 월평균인 5220명에 비해 32.5% 증가한 수준이다. 누계로는 총 33만6000명이 임대사업자로 등록했다.
지역별로는 서울시(2475명)와 경기도(2466명)에서 총 4941명이 등록해 전국 신규등록 사업자 중 71.5%를 차지했다.
서울시에서는 28%(694명)가 강남권(서초‧강남‧송파‧강동)에서 등록했고, 강서구(151명), 양천구(138명), 마포구(127명)에서의 등록도 두드러졌다.
경기도에서는 고양시(301명), 시흥시(296명), 수원시(258명) 순으로 등록했다. 그 외 광역권에서는 인천(347명), 부산(299명), 대구(238명), 충남(138명) 순으로 집계됐다.
지난달 등록한 임대주택 수는 2만851채로, 누계는 총 117만6000채로 확인됐다.
지난달 신규등록 임대주택을 임대의무기간별로 보면, 8년 이상 임대되는 주택(장기일반 민간임대주택 및 공공지원 민간임대주택)이 1만2552채를 차지하며, 전월 1만851채보다 15.7% 증가했다.
특히, ‘임대주택 등록활성화 방안’에 따라 양도소득세 중과배제・장기보유 특별공제, 종합부동산세 합산배제 자격이 8년 장기임대주택에 대해서만 적용되면서, 올해 4월 이후부터 장기일반 민간임대주택의 비중이 매월 60%를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서울시(7397채), 경기도(6659채)에서 총 1만4056채가 등록해 전국에서 신규 등록한 임대주택의 67.4%를 차지했다.
서울시에서는 강남권(2628채)이 등록실적의 35.5%를 차지했으며, 다음은 영등포구(627채)・광진구(420채)・강서구(368채) 순이었다.
경기도에서는 수원시(999채), 고양시(841채), 시흥시(438채)에서 등록이 집중됐으며, 그 외 광역권에서는 부산(1468채), 인천(951채), 대구(665채) 순으로 파악됐다.
국토부 관계자는 “지난달 30일에 발표된 ‘2018년 세법 개정안’에 따라, 등록사업자에 대한 임대소득세・양도소득세・종합부동산세 인센티브가 구체화됐다”면서 “올 하반기에는 임대사업자 등록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