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할 능력은 있지만 별다른 이유 없이 일하지 않은 '쉬었음' 인구가 190만명을 넘어섰다.
9일 통계청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 인구는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0만7000명 늘어난 195만1000명이었다. 이는 관련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2003년 이후 가장 많은 수준이다.
쉬었음 인구는 일할 능력이 있지만 병원 치료나 육아 등 구체적인 이유 없이 막연히 쉬고 싶어서 일하지 않는 사람들이다. 이들은 경제활동인구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통계상 실업자로도 분류되지 않는다.
1분기 쉬었음 인구 증가세는 주로 50세 이상이 견인하고 있다.
특히 60세 이상 쉬었음 인구는 1년 전보다 11만5000명이나 늘면서 84만1000명을 기록, 역대 최대 기록을 갈아치웠다.
쉬었음 인구가 큰 폭으로 늘면서 비경제활동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11.7%를 기록, 역대 가장 높은 수준으로 뛰어올랐다. 비경제활동 유형은 쉬었음 외에도 육아, 가사, 통학, 연로, 심신장애 등이 있다.
올해 1분기 임시·일용직은 607만4000명으로 1년 전보다 18만1000명이나 감소했다. 이는 2013년 1분기(25만5000명) 이후 5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이다.
50세 이상 취업자 수 증가 폭도 27만명에 그쳐 2016년 2분기(26만1000명) 이후 약 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