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궤도 회복한 북미회담?...엇갈리는 외신반응
NYT·로이터·CNN "文 중재외교 힘입어...회담성사 가능성 보여"
WP· 가디언·NHK "北 비핵화 의지에 대한 의구심 해소 안돼..."
NYT·로이터·CNN "文 중재외교 힘입어...회담성사 가능성 보여"
WP· 가디언·NHK "北 비핵화 의지에 대한 의구심 해소 안돼..."
제 2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북미정상회담 불씨를 살리기 위한 물밑접촉이 전개되면서 북미 관계가 새 국면을 맞이하게 될 전망이다.
미국 뉴욕타임스 등 해외 주요 언론들은 지난 27일에 진행된 2차 남북회담을 통해 문 대통령의 중재외교가 돋보였다며 북미정상회담에 대해 긍정적인 전망을 내놨다.
뉴욕타임스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논의하기로 결심했다" 고 전하며 "이번 남북정상회담은 북한 핵무기 운명을 둘러싼 외교의 소용돌이 속에서 이뤄진 새로운 전환이다"고 평가했다.
이어 로이터통신은 남북 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속보로 전한 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회담 성사 가능성에 대한 희망을 높이면서 두 정상이 만난 것"이라고 관측했다.
미국 CNN은 "양국 정상은 향후 북미회담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서로 의견을 교환한 것으로 알려졌다"며 이번 회담이 트럼프 대통령이 북미회담에 대해 긍정적인 트윗을 올린 직후라는 데 의미를 더했다.
또 중국 관영 신화통신은 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 모두 북미회담을 고대하고 있다고 보도하며 북미 정상회담의 성공 가능성에 무게를 실었다.
반면, 이번 남북회담을 통해서도 여전히 북한의 비핵화 의지와 진정성 있는 조치를 보일 것 인지에 대한 의구심은 여전히 해소되지 않았다는 지적도 잇따른다.
워싱턴 포스트(WP)는 "김 위원장은 여전히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에 전념하고 있고 트럼프 대통령과 만나고 싶어한다고 문 대통령이 전했다"고 설명했지만 "트럼프와 김 위원장의 변덕스러운 정상회담 준비를 몹시 괴롭히는 핵심 이슈에 대한 근본적 차이가 여전히 있다는 점을 시사했다"고 우려했다.
영국 일간지 가디언은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의 2차 회담으로 취소 위기였던 북미회담이 여전히 진행 중인 사안으로 확인됐다는 점을 밝혔지만 완전한 비핵화가 정확히 어떤 방식인지, 실현 가능성 등에 대해서는 말을 아꼈다"고 보도했다.
또 폭스뉴스는 "남북 정상이 완전한 비핵화를 통해 핵 없는 한반도를 실현한다는 공동의 목표를 확인하고 각자 책임과 역할을 다하겠다는 것과 올해 종전 선언을 추진하겠다고 발표했다"며 "그러나 이런 목표를 이루기 위해 남북이 어떤 조치를 취할 것인지 당장 명확하지는 않다" 고 지적했다.
이어 일본 공영방송 NHK는 "북미가 싱가포르 회담 개최를 위해 조율 과정에서 밀당이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며 성공적인 북미회담 개최까지 진통이 많이 따를것으로 내다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