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정부, 남북정상회담 준비기획단 곧 출범
靑, 범정부 정상회담 실무기구 조만간 설치
통일부 중심 정상회담 실무접촉 성사될 듯
남북 정상 간 핫라인 개설…첫 통화 주목
靑, 범정부 정상회담 실무기구 조만간 설치
통일부 중심 정상회담 실무접촉 성사될 듯
남북 정상 간 핫라인 개설…첫 통화 주목
4월 말 남북정상회담 개최를 앞두고 정부가 본격적인 실무작업에 착수한다.
정부 관계자 등에 따르면 범정부 차원의 정상회담 추진 기구를 구성하고, 판문점 연락채널과 실무회담을 등을 통해 북측과 협의를 이어갈 방침이다.
청와대는 조만간 정상회담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범정부 차원의 실무기구를 설치할 전망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정상회담 준비기구는 당연히 필요하며, 언제 출범할지는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2007년 제2차 남북정상회담을 앞두고 노무현 정부는 당시 대통령 비서실장이던 문재인 대통령을 위원장으로 하는 '남북정상회담 추진위원회'와 이재정 당시 통일부 장관을 단장으로 하는 '준비기획단' 등 2개의 실무기구를 발족한 바 있다.
당시 정상회담 추진위와 준비기획단은 청와대의 주도로 통일부와 국정원 등 유관부처가 참여하는 방식으로 운영됐다.
이에 이번 제3차 남북정상회담에서도 청와대 차원의 범정부 추진위원회를 만들고, 이를 뒷받침할 정부 차원의 준비기획단이 꾸려질 전망이다.
우선 청와대에 설치될 추진위는 임종석 비서실장 등으로 꾸려질 것으로 알려졌다. 준비기획단은 주무부처인 통일부를 중심으로 외교부, 기획재정부, 문화체육관광부 등 유관 부처가 포함될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정상회담 개최까지 시간이 촉박한 만큼 늦어도 이번 달부터 북한과의 실무회담이 진행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조만간 통일부를 중심으로 정상회담의 구체적인 일정과 의제 등을 조율할 실무접촉도 이뤄질 것으로 예상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정상회담을 뒷받침할 준비기구 출범을 관계부처와 협의 중"이라며 "시간이 얼마 없어 이르면 이번 주 출범할 수도 있다"고 설명했다.
정상회담 준비에 있어서는 실무회담 의제 조율부터 경호, 의전까지 포괄적으로 진행될 전망이다.
먼저 정상회담 실무회담에서는 남북관계 개선 방안부터 비핵화 논의, 한미연합군사훈련, 평화협정 등 민감한 사안이 거론될 수 있어 남북 간 신경전이 예상된다.
의전 문제도 중요하다. 정상회담이 판문점 남측 평화의 집에서 열리는 만큼 손님을 맞는 차원에서 안전부터 경호, 편의까지 신경을 써야 한다. 앞서 1·2차 정상회담은 모두 평양에서 개최됐다.
4월말 예정대로 남북정상회담에 개최된다면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은 북한 지도자 중 처음으로 남측 땅을 밟게 된다. 김 위원장으로서는 생애 첫 정상 외교무대이기도 하다.
남북은 또 정상 간 핫라인을 최초로 개설하면서, 문 대통령과 김 위원장 사이 육성으로 직접 대화할 수 있게 된다. 이에 정상회담을 전후로 양측 간 첫 통화가 이뤄질 수 있을 지 주목된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