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군 위안부 학살 있었다"…서울시, 영상 최초 공개
태평양전쟁 패전 임박 일본군, '위안부' 30여명 총살
같은 장소 사진·연합군 문서까지 밝혀져 학살 확실시
태평양전쟁 패전 임박 일본군, '위안부' 30여명 총살
같은 장소 사진·연합군 문서까지 밝혀져 학살 확실시
1944년 태평양전쟁 당시, 일본군에 의해 중국으로 끌려온 조선인 '위안부'가 일본군에 학살된 후 버려진 영상이 최초로 공개됐다.
서울시·서울대인권센터는 27일 오전 10시 서울시청 다목적홀에서 열린 3.1절 99주년 기념 '일본군 위안부 국제컨퍼런스'에서 19초짜리 흑백영상을 공개했다. 영상에는 아시아·태평양전쟁 패전 직전 중국 등충 등지에서 일본군에 의해 학살 후 버려진 일본군 '위안부'의 모습이 담겼다.
또, 미·중 연합군 작전기록 등 미·중 연합군이 일본군의 조선인 '위안부'학살을 인지했음을 확인할 수 있는 문서자료도 함께 발굴·공개됐다. 당시 미·중 연합군이 보고를 위해 작성한 문서(G-3 Daily Diary Sept 15, 1944)는 등충이 함락되기 직전인 9월 "13일 밤 일본군이 조선인 여성 30명을 총살했다(Night of the 13th the Japs shot 30 Korean girls in the city)"라고 정확하게 기록하고 있다.
1944년 6월 당시, 미·중 연합군은 중국 송산과 등충에 주둔해 있던 일본군을 공격했다. 같은 해 9월 7일과 14일 각각 송산과 등충을 함락했고, 당시 이곳에는 일본군에 의해 끌려온 조선인 '위안부' 7~80여 명(송산 24명, 등충 30명 이상)이 있었다. 이중 연합군에 포로로 잡혀 생존한 23명을 제외한 나머지 대다수는 전쟁 막바지 패전이 임박한 일본군에 의해 학살돼 버려진 것이다.
영상에는 조선인 '위안부'들이 일본군에 의해 살해당한 후 버려진 모습이 담겨 있고, 주변으로는 시신을 매장하러 온 것으로 보이는 중국군 병사 두세 명도 보인다. 해당 영상은 연합군 164통신대 사진중대 B파견대 소속 볼드윈(Baldwin) 병사가 1944년 9월 15일 촬영한 것으로, 영상 속 장소는 중국 운남성 등충성 안팎의 장소로 추정되고 있다.
영상은 서울시와 서울대인권센터 정진성교수연구팀(이하 '서울대 연구팀')이 2016년과 2017년 두 차례 미국 국립문서기록관리청(NARA, National Archives and Records Administration)을 방문하며 끈질긴 조사와 발굴 작업을 거친 끝에 촬영된 지 70여년 만에 세상에 공개될 수 있었다.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해당 영상자료 1점을 비롯해 사진자료 2점, 미·중 연합군의 작전일지 등 일본군의 '위안부' 학살 사실을 증명하는 문서 14점도 함께 공개했다.
시와 연구팀에 따르면 그간 일본군이 '위안부'를 학살했다는 증언, 기사 등이 공개된 적은 있었지만 '위안부' 학살 현장이 촬영된 영상이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2016년, 서울시와 서울대 연구팀은 이번에 공개된 영상과 같은 곳에서 촬영한 것으로 확인된 '위안부' 학살현장 사진을 수집한 바 있다. 사진 수집 이후 연구팀은 전쟁 당시에는 사진촬영과 영상촬영이 함께 이뤄졌었다는 점에 주목해 영상을 타겟팅한 후속작업을 계속해왔다. 그 결과 1년 만에 발굴에 성공한 것이다. 이로써 같은 학살 현장에서 발굴된 사진과 영상이 모두 확보돼 역사적 입증자료로서 무게를 더했다.
이날 컨퍼런스에 참석한 박원순 서울시장은 "나라를 잃고 힘없는 조국에서 여성, 소녀들이 어떤 고통을 겪었는지 가슴 아픈 현실을 직시하고 있다"며 "불행한 역사도 기록하고 기억해야 다시는 반복되지 않는 만큼 앞으로도 서울시가 가능한 모든 역량과 자원을 집중해 역사를 기억하고 바로 세우는데 앞장서 나가겠다"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