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H농협금융, "오는 2022년까지 그룹 해외사업 비중 10%로 확대"
범농협적 해외 자산운용 시너지 허브 구축해 시너지 창출
농협금융에 특화된 현지진출 모델도 고도화해 추진 예정
NH농협금융지주는 아시아를 대표하는 글로벌 협동조합금융 구현을 비전으로 오는 2022년까지 현재 3% 수준인 그룹 내 해외사업 비중을 10% 수준으로 끌어올린다는 청사진을 마련했다고 26일 밝혔다.
농협금융은 이날 서대문 농협금융 본사에서 제3차 글로벌전략협의회를 개최해 이같은 내용을 포함해 해외점포 상반기 경영현황 및 그룹 중장기 글로벌전략을 점검했다.
우선 농협금융은 아세안 지역에 선택과 집중을 통해 전략적 거점을 구축하고 이미 증권이 진출한 홍콩, 싱가포르, 뉴욕 등 선진시장에서는 증권 해외법인을 중심으로 은행, 보험 외에 상호금융까지 포함된 범농협적 해외 자산운용 시너지 허브를 구축해 시너지 창출을 통한 글로벌 자본시장에서의 경쟁력 제고 및 해외 거점과 국내사업의 전후방 효과를 극대화할 계획이다.
또 농협금융에 특화된 현지진출 모델을 고도화해 추진할 예정이다.
해외진출 시 진출국가의 농업개발 니즈와 유통, 농기계, 종자 등 경제부문 및 농업금융 전문 심사체계 등 금융부문을 아우르는 범농협 역량을 연계한 ‘농협금융형 Only-One 전략’을 전개해 협동조합 금융의 경험과 노하우를 바탕으로 해외사업 경쟁력을 조기 확보할 방침이다.
아울러 글로벌 경영관리를 위한 조직확대 등 관련 인프라도 대대적으로 강화하기로 했다.
김용환 NH농협금융 회장은 “해외에 나가보면, 우리의 협동조합 금융에 대한 니즈가 많아 차별적인 경쟁력을 충분히 가질 수 있다”며 “농협 고유의 협동조합 모델을 활용해 진출 지역을 중심으로 농업부문의 수출입 금융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한국 농업의 부가가치 제고에 일조할 것”이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