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정배후수요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 창출 가능
풍부한 시중 유동자금과 정부의 주택 규제 풍선효과 등에 힘입어 수익형 부동산 투자 열기가 고조되는 가운데 지식산업센터내 상가가 틈새 투자처로 조명되고 있다.
아파트 단지내 상가의 주요 고객이 해당 단지에 거주하는 고정 배후수요라면 지식산업센터 상가는 자체 업무시설의 고정적인 배후수요 독점력을 바탕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점이 특징이다.
6일 상가정보연구소가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대표적인 지식산업센터 기반 상권인 가산디지털단지역 상권의 음식점 업종 월매출은 3800만~5500만원 수준으로 금천구(2722만원)와 서울시 평균(3791만원)을 훌쩍 넘어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일반상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렴해 높은 수익률을 올릴 수 있다는 점도 매력으로 작용하고 있다. 최근 분양을 실시한 지방의 한 지식산업센터 상가(1층 기준)의 평균 분양가는 3.3㎡당 1800만원 선으로 인근 일반상가 분양가인 2700만~2800만원 대비 1000만원가량 저렴하다.
다만 상가정보연구소는 지식산업센터 상가가 업무시설 중심의 상권이자 주중상권이라는 점을 명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를 감안한 업종 분석 및 선정이 이뤄져야 한다는 설명이다.
상업시설(상가) 비율을 따져보는 것도 중요하다. 지식산업센터에는 최대 30%까지 상업시설이 들어설 수 있는데 이 비율이 지나치게 높으면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투자 전 상층부 업무시설 계약률도 확인해봐야 한다. 업무시설 공실로 상주인구가 부족할 경우 매출 부실로 이어질 수 있다.
외부 소비수요 유입이 가능한 입지인지 따져보는 것도 중요하다. 주변에 아파트나 산업단지를 끼고 있으면 유리하고, 지하철 역과의 거리, 건물 앞 인도의 유동인구, 건물의 가시성 등도 조사해야 한다.
소비 유입에 유리한 설계여부도 파악하면 좋다. 최근에는 유동인구의 체류시간을 늘리는 효과가 있는 유럽형 스트리트 상가가 지식산업센터에도 도입되는 추세다.
이상혁 상가정보연구소 선임연구원은 “상가와 오피스텔 등 수익형부동산의 공급과잉으로 수익률이 예전만 못한 상황에서 지식산업센터내 상가를 투자 대안으로 고려해볼 만하다”며 “단, 상품별 특장점이 판이하기 때문에 철저한 사전조사는 필수”라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