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수진영, '사표론·밴드왜건' 겹치는 악재 어떻게 극복하나
여론조사 의식한 '민심흐름'에 고스란히 피해입는 '보수후보들'
홍준표·유승민 "여론조사 비정상적"…새 프레임으로 맞대응
'대선 레이스' 본선의 막이 오른 지 이틀째다. 공식 선거운동 첫날부터 대선후보들은 저마다의 강점을 내세우며 전국 유세를 펼치고 있는 가운데 출발점부터 '약체'로 분류된 보수후보들의 지지율 부진은 헤어날 길이 없어 보인다.
주간 단위로 계속 나오고 있는 각종 여론조사에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후보와 국민의당 안철수 후보라는 '양강구도'에 갇혀 탈출구를 못찾고 있는 실정이다.
여론조사 반영한 '민심흐름' 이동…고스란히 피해입는 '보수후보들'
이러한 분위기를 상징하는 '대선판 신조어'도 나왔는데 이른바 '홍찍문(홍준표를 찍으면 문재인이 된다)' 또는 '유찍문(유승민을 찍으면 문재인이 된다)' 등이 그 예다. 보수 후보들에게 표를 주면 문재인 후보가 당선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2위 대항마에게 표를 몰아줘야한다는 주장이다.
이 바람에 보수층 유권자들이 문재인 후보와 양강구도를 형성하고 있는 안철수 후보를 전략적으로 선택하면서 보수후보들의 지지율이 더 줄어드는 결과로 이어지고 있다. 보수층의 '반문(반문재인)정서'가 영향을 미친 결과이기도 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보수층 또는 유보층 표심이 지지율 높은 후보에게 가세하는 이른바 '밴드왜건 효과(다수의 선택을 따르는 현상)'까지 나타나면서 보수후보들에게는 설상가상이 되고 있다. 당선 가능성이 희박한 후보에게 표를 주면 ‘죽은 표’ 이른바 ‘사표(死票)’가 되기 때문에 승산 있는 후보에게 투표해야 한다는 '사표론'과도 연결된다.
'사표론'은 지난 1997년 제15대 대선 당시에도 등장한 바 있다. 당시 한나라당 이회창 후보 쪽이 '사표론'을 내걸며 "이인제를 찍으면 김대중이 된다"는 전략을 구사했지만 결과는 실패였다.
이처럼 악재가 겹치면서 '양강구도'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자유한국당과 바른정당 후보들은 '악순환'의 늪에서 어떻게 벗어나느냐가 관건이 되고 있다. 부진 탈출이 쉽지 않다고 해서 3주밖에 남지 않은 선거 기간 동안 마냥 주저앉을 수만은 없다는 분위기도 당내에 번지고 있다.
당장 홍준표 한국당 후보는 공식 선거운동 첫날이던 17일 자신을 옥죄는 프레임 깨뜨리기에 적극 나섰다. 홍 후보는 "한 달 전부터 지금까지 지지율이 7%인데 대전 중앙시장에 가도, 부산 서면에 가도, 울산에 가도 열광적이다"라며 "이해가 안 가고, 여론조사를 희한하게 하고 있다"고 여론조사 신뢰도에 의문을 제기했다.
홍준표·유승민 "여론조사 비정상적"…'양강구도' 프레임 탈출 안간힘
이어 홍 후보는 "밴드왜건 현상, 사표가 나올까 싶어 한쪽으로 표를 모아주는 현상이 있다"며 "현혹되지 말고 만일 집권하면 이렇게 여론조사를 하는 기관은 내가 폐지하겠다"고 주장했다.
유승민 후보도 여론조사로 고착화하는 지지율 현상을 부정하면서 실제 민심은 다르다는 입장을 계속 강조하고 있다. 유 후보는 대선 공식 선거운동에 들어가기 앞서 기자들과 만나 "지금 여론조사는 비정상이라고 생각한다. 제가 다녀본 민심과 그 여론조사 숫자는 많이 다르고, 그래서 저는 끝까지 완주할 것이다"고 밝혔다.
이에 보수 후보들은 또다른 신조어 프레임으로 '맞불'을 놓으면서 지지율 변화를 시도하고 있다. 홍준표 후보는 '안철수를 찍으면 박지원이 상왕이 된다'는 '안찍박'으로 맞받아쳤고, 바른정당 측은 '유찍유(유승민을 찍으면 유승민이 된다)'와 '문찍김(문재인 찍으면 김정은과 함께 한다)'로 반격을 시도하고 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