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항공종사자들과 인천공항에서 기념행사 및 공로자 표창
국토부, 항공종사자들과 인천공항에서 기념행사 및 공로자 표창
올해 우리나라 항공여객이 1억 명을 넘어섰다. 1948년 민간항공기가 최초로 취항한 이후 68년 만의 일이다.
지난 1987년 1000만 명을 돌파한 이래 20년만인 2007년에 5000만 명을 달성했고, 이후 9년 만에 두 배로 성장해 1억 명을 넘겼다. 올 연말까지는 항공여객 1억379만 명이 예상된다.
이에 따라 19일 국토교통부는 연간 항공여객 1억 명 돌파를 기념해 인천공항에서 축하행사를 개최하고, 항공운송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에게 표창을 수여한다고 밝혔다.
또한 국토부를 비롯한 공항, 항공사, 출입국·보안·검역 등 상주기관 종사자 등 항공 인들이 함께 ‘더 안전하고, 수준 높은 항공서비스’를 다짐하는 세리머니도 진행한다.
우리나라는 국제민간항공기구(ICAO) 가입국 중 전체 항공수송실적(여객+화물 톤킬로) 8위, 여객(여객킬로) 16위, 화물(톤킬로) 4위이며, ICAO 이사국을 2001년부터 6연임하고 있는 항공운송 강국이다.
국제선만으로 보면 전체 항공수송실적(여객+화물 톤킬로) 6위, 여객(여객킬로) 11위, 화물(톤킬로) 4위를 기록하고 있다.
국토부는 이 같은 항공여객 성장세가 항공자유화, 인천공항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지방공항 활성화 추진, 저비용항공사 안전 및 경쟁력 강화방안 시행 등을 통해 발전 기반이 마련됐고, 저유가와 내외국인 여행수요 증가 등 우호적인 영업환경과 저비용항공사의 운항 확대, 대형 항공사들의 전략적 사업 운영 등이 더해져 이뤄진 결과로 판단했다.
국토부는 이를 계기로 경쟁력 있는 항공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항공안전 체계와 국민이 만족하는 수준 높은 항공서비스를 제공하는 데 역량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경쟁력 있는 항공 산업 생태계 조성을 위해 내년부터 국적사와 글로벌 외항사 간의 전략적 제휴, 공동운항을 위한 운수협정 체결 등을 지원하고, 항공기 금융 관련 제도 개선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최근 급증하는 항공교통량에 대비해 내년에 항공교통통제센터를 개소하고, 중국과 동남아 등 혼잡항공로의 복선화를 추진한다. 항공장애와 사고 등의 빅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한 예방적 안전관리 체계도 도입할 예정이다.
항공서비스를 높이기 위해서는 내년에 저비용항공사-대형항공사 공동운항에 따른 소비자 불편사항을 줄이기 위한 개선방안을 마련하는 등 소비자 보호도 강화한다.
첨단 ICT 기술을 활용, 공항운영 및 여객서비스를 개선하는 스마트공항 마스터플랜을 내년에 수립해 단계적으로 도입해 나갈 계획이다.
이날 행사에서 국토부는 저비용항공사를 이용해 입국하는 외국인 승객에게 기념품을 증정하고, 항공여객 1억 명 달성과 항공운송산업 발전에 기여한 공로자에게 표창을 수여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