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공공부문에서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 확산 중


입력 2016.11.28 18:23 수정 2016.11.28 18:35        이선민 기자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책현장 모니터링 성과포럼 개최

"여성고용 활성화 및 일·가정 양립 기반 마련 성과"

28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공동주최로 열린 ‘2016년 여성의 경력유지를 위한 정책현장 모니터링 성과 포럼’. 권용현 여성가족부 차관과 이명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장, 지방자치단체와 지역 연구기관 관계자 등이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여성가족부·한국여성정책연구원, 정책현장 모니터링 성과포럼 개최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이 28일 오후 서울시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2016년 여성의 경력유지를 위한 정책 현장 모니터링’ 성과포럼을 개최하고 여성의 경력유지와 일·가정 양립 지원 정책을 정착시키기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과 성과를 점검했다.

지난 5월 여성가족부와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은 5개 지방자치단체 및 지역 연구기관 등과 함께 공공부문 및 중소기업을 모니터링 했다. 그 결과에 지자체별로 의미 있는 성과들이 발굴됐다.

이번 현장 모니터링을 실시한 광주여성재단의 강현아 정책연구실장은 “지속적인 일·가정양립 지원정책의 현장모니터링과 개선과제 제안, 환류를 통해 지자체 출자·출연기관의 제도 도입이 증가했다”며 “정책담당자들의 관심도와 인식도 높아지는 효과가 있었다”고 밝혔다.

대표적인 성과는 지자체 출자·출연기관의 경영평가 지표에 가족 친화경영 및 여성대표성 제고 노력이 반영된 것이다. 광주광역시는 2016년 출차출연기관 경영평가 지표에 ‘여성가족친화시책(0.3점)’을 반영하였고, 2017년에는 ‘여성대표성 제고(0.4점)’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한 인천광역시는 ‘인천광역시 여성의 경력유지 촉진에 관한 조례(가칭)’ 제정을 논의 중이며, 대구광역시도 ‘대구광역시 일·가정양립 중장기계획 수립’을 추진하기로 하는 등 지자체 차원에서 여성고용 활성화 및 일·가정 양립 정책 강화 기반을 마련하는 성과도 있었다.

이명선 한국여성정책연구원 원장은 환영사에서 “지역의 여성고용 활성화와 경력단절 예방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정책들이 발굴되고 추진될 수 있도록 관련 연구를 더욱 강화해 나가겠다”고 향후 계획을 설명했다.

한편, 권용현 여성가족부 차관은 “일·가정양립 문화정착과 여성의 경력단절 없는 경제활동 참여는 지속적인 국가발전을 위한 핵심과제”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정부 정책들이 현장에서 제대로 작동하는지 점검하고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이선민 기자 (yeatsmin@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선민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