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훼·요식 등 내수 전반 소비흐름 단절현상...장기 부진 우려
농어촌 자매결연 확대...문화예술축제 적극 지원
"부정청탁금지법 준수로 절감된 재원, 내수소비 진작에 활용"
경제계가 부정청탁금지법(일명 김영란법) 시행 영향으로 소비단절현상까지 빚자 내수소비 활성화에 적극 나서기로 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대한상공회의소·한국경영자총협회·한국무역협회·중소기업중앙회·한국중견기업연합회 등 경제6단체는 6일 '내수활성화 실천을 위한 경제단체 공동 결의문'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경제단체들은 결의문에서 "지금 우리 경제는 글로벌 경기침체의 영향으로 수출이 부진하고 내수도 회복 모멘텀을 찾지 못한 채 답답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며 "지난달 28일부터 청탁금지법이 새롭게 시행됨에 따라 사회관행 선진화라는 긍정적 효과와 함께 시행초기 과도한 내수위축의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실제로 화훼와 요식 등 자영업 부문은 물론 농축수산업계, 가을철 지역축제 등 지역경제, 공연 등 문화예술부문에 이르기까지 내수 전반에 걸쳐 소비흐름의 단절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자칫 우리 경제가 회복의 방향성을 잃고 장기부진에 빠질지도 모른다는 위기감도 커지고 있다.
경제계는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청탁금지법 준수과정에서 절감된 재원 등을 활용해 내수소비 진작에 적극 나설 것을 다짐했다.
경제단체들은 "워크샵 등 각종 회의를 국내에서 개최하고 체육대회와 노사합동 걷기대회 등을 농어촌 지역을 중심으로 실시할 것"이라며 "기업과 농어촌 마을간 자매결연을 더욱 확대하는 한편 기업바자회 개최와 팝업스토어 설치 등을 통해 농축수산물 소비촉진에 앞장서겠다"고 밝혔다.
또 부정청탁금지법 시행으로 타격이 큰 농축수산 업계와 문화예술부문을 지원하기 위해 농축수산물상품권, 문화상품권, 전통시장 온누리상품권 등을 적극 구매해 직원복지와 소외계층 지원에 사용하고 명절 선물시에도 동 상품권을 우선 활용키로 했다.
이와함께 부정청탁금지법 시행으로 타격이 큰 요식업계 등이 애로를 호소해온 우리 사회의 예약부도 관행 선진화를 위해 기업부문부터 앞장서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경제단체들은 "전국 각 지역에서 개최되고 있는 문화예술 축제와 행사에 적극 참여해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하고 나아가 지역축제가 매력적인 관광명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후원할 계획"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