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민주 기재위·정무위 "최경환·안종범 없으면 추경도 없다"
"09년 당시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정책 책임자였던 두 사람 출석은 최소한의 도리"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23일 조선해양산업의 부실 책임 추궁을 위한 ‘서별관 회의 청문회’(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청문회) 증인 채택문제에 대해 “청문회에 최경환·안종범 없으면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없다”고 못 박았다.
기재위 야당 간사인 박광온 의원과 정무위 야당 간사인 전해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9년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방안을 결정한 정책 책임자였던 최경환 전 기재부장관과 안종범 경제수석은 청문회에서 당시 과정을 소상히 밝히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며 “추경예산편성이 무산된다면, 그 책임은 핵심증인채택을 거부해 청문회를 방해한 여당에게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특히 “당시 결정했던 분들이 떳떳하다면 청문회에 당당히 나와서 결백을 입증하면 될 일 아닌가”라며 더민주가 △선(先)추경 후(後)청문회 △기재위·정무위 개별 회의 △청문회 기간 3일로 단축 등 청문회를 위해 여러 차례 양보했지만, 새누리당은 이에 대해 협의에 나설 의지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전날 의원총회에서 증인 채택 문제를 두고 당내 이견이 갈린 데 대해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각에서 두명 중 한명만 나오도록 협상할 수 있다는 건 박완주 수석이 ‘제안’한 것이 절대 아니다. 하도 말이 안 통하고 답답하니까 ‘이렇게라도 하면 협조하겠느냐’는 의미로 한번 던져본 이야기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전 의원 역시 “당시 중요한 결정권자로 있던 두 분이 나와서 상황을 설명하는 게 최소한의 예의 아닌가"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 분이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는 것은 협상을 하고 말고 할 부분이 없는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잘라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