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더민주 기재위·정무위 "최경환·안종범 없으면 추경도 없다"


입력 2016.08.23 11:22 수정 2016.08.23 11:23        이슬기 기자

"09년 당시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 정책 책임자였던 두 사람 출석은 최소한의 도리"

우상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2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국회 기획재정위원회·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위원들은 23일 조선해양산업의 부실 책임 추궁을 위한 ‘서별관 회의 청문회’(조선·해운업 구조조정 청문회) 증인 채택문제에 대해 “청문회에 최경환·안종범 없으면 추가경정예산 편성도 없다”고 못 박았다.

기재위 야당 간사인 박광온 의원과 정무위 야당 간사인 전해철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 정론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09년 조선해운산업 구조조정과 경쟁력 강화방안을 결정한 정책 책임자였던 최경환 전 기재부장관과 안종범 경제수석은 청문회에서 당시 과정을 소상히 밝히는 것이 국민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라며 “추경예산편성이 무산된다면, 그 책임은 핵심증인채택을 거부해 청문회를 방해한 여당에게 있다”고 밝혔다.

박 의원은 특히 “당시 결정했던 분들이 떳떳하다면 청문회에 당당히 나와서 결백을 입증하면 될 일 아닌가”라며 더민주가 △선(先)추경 후(後)청문회 △기재위·정무위 개별 회의 △청문회 기간 3일로 단축 등 청문회를 위해 여러 차례 양보했지만, 새누리당은 이에 대해 협의에 나설 의지조차 없다고 비판했다.

또한 전날 의원총회에서 증인 채택 문제를 두고 당내 이견이 갈린 데 대해선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며 “일각에서 두명 중 한명만 나오도록 협상할 수 있다는 건 박완주 수석이 ‘제안’한 것이 절대 아니다. 하도 말이 안 통하고 답답하니까 ‘이렇게라도 하면 협조하겠느냐’는 의미로 한번 던져본 이야기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전 의원 역시 “당시 중요한 결정권자로 있던 두 분이 나와서 상황을 설명하는 게 최소한의 예의 아닌가"라며 "그렇기 때문에 이 분이 증인으로 나와야 한다는 것은 협상을 하고 말고 할 부분이 없는 최소한의 조건”이라고 잘라 말했다.

이슬기 기자 (wisdom@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이슬기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