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속영장 기각…급물살타던 롯데 수사 첫 '제동'
첫 현직 사장급 인사 구속영장 신청 '기각'
신병 확보 불발로 검찰 수사 차질 예상
첫 현직 사장급 인사 구속영장 신청 '기각'
신병 확보 불발로 검찰 수사 차질 예상
롯데그룹에 대한 검찰 수사에 제동이 걸렸다. 지속적으로 의혹 제기를 하고 총수 일가 출국금지, 신영자 롯데장학재단 이사장 구속, 실무진 소환 조사 등 급물살을 타던 검찰 수사가 강현구 롯데홈쇼핑 대표이사 사장 구속영장 기각으로 인해 '주춤'하는 분위기다.
1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서울중앙지법은 검찰이 방송법 위반 혐의 등으로 청구한 강 사장의 구속영장을 이날 기각했다.
현재까지의 수사 진행 경과와 주요 범죄 혐의에 대한 소명 정도, 다툼의 여지 등에 비춰 현 단계에서 구속의 사유와 필요성을 인정하기 어렵다는 것이 기각 사유다.
검찰은 강 사장이 지난해 미래부 롯데홈쇼핑 재승인 심사 때 허위사실이 기재된 사업계획서를 제출, 재승인 허가를 취득한 혐의가 있다고 보고 수사 중이다.
특히 검찰은 강 사장 주도로 임직원 급여를 과다 지급 후 일부를 돌려받거나 상품권을 구입한 후 현금화 하는 일명 '상품권깡'을 했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이번 구속영장 기각으로 강 사장의 신병 확보는 일단 불발됐고 검찰 수사에도 차질을 빚을 것으로 예상됐다.
업계 관계자는 "롯데홈쇼핑에 대한 의혹들을 제대로 수사하려면 강 사장의 신병 확보가 우선적이었는데 이가 불발된만큼 검찰은 당혹스러울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또 다른 증거가 나오지 않는다면 의혹 단계에 그치기 때문에 검찰 수사에 분명 차질이 생길 것이라고 본다"고 설명했다.
한편 검찰은 이날 기준 전 롯데물산 사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조사하고 있다.
기 전 사장은 롯데그룹 계열사인 KP케미칼(현 롯데케미칼)이 정부를 상대로 한 소송 사기에 관여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롯데케미칼이 화학 원료를 수입할 때 일본 롯데물산을 거래 과정에 끼워 넣어 수수료를 지급하는 수법으로 거액의 비자금을 조성했다는 의혹도 조사 대상이다.
롯데 측은 외환위기 당시 거액의 무역금융을 중계해준 데 대한 수수료 성격이라고 해명하고 있지만 검찰은 신 회장을 비롯한 총수 일가의 비자금일 가능성을 의심하고 있다.
이에 따라 앞으로 검찰이 롯데물산 역시 현 사장인 허수영 사장을 소환조사 할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하지만 강 사장의 구속영장 기각으로 앞으로 '현역' 사장급 이상 조사에 첫 제동이 걸린 셈이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강 사장의 구속영장 신청 기각은 추진력을 얻어야 하는 검찰 수사에 제동을 건 셈"이라며 "전방위 조사를 진행한만큼 확실한 단서가 나오지 않으면 과잉 수사라는 비판을 피하기 힘들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