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경제계 "한국노총 대타협 파기, 국민적 여망 저버려"


입력 2016.01.19 17:02 수정 2016.01.19 17:59        박영국 ·이홍석 기자

전경련 "기득권 양보 않겠다는 조직이기주의적 행동"

경총 "근로자와 구직자들을 위해서라도 대화 포기하면 안돼"

김동만 한국노총 위원장이 19일 오후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 한국노총회관 대회의실에서 노사정합의 파기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경제계가 19일 한국노동조합총연맹의 노사정 대타협 파기 및 노사정위원회 불참 선언에 대해 유감을 표하는 한편, 당장 철회하고 사회적 대화에 복귀할 것을 촉구했다.

이철행 전국경제인연합회 고용복지팀장은 이날 한국노총의 기자회견 직후 “경제계가 지난 11일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복귀를 촉구했으나, 금일 한국노총이 정식으로 노사정 대타협을 파기하고 노사정위원회 불참을 선언한 것은 노동개혁을 통해 경제를 살리고 청년일자리 문제를 해결하라는 국민적 여망을 저버린 것”이라며 유감을 표했다.

그는 이어 “국민들은 한국노총의 노사정위 탈퇴와 노동개혁 논의 거부를 기득권을 조금도 양보하지 않겠다는 노동계의 조직이기주의적 행동이라고 생각할 것”이라고 비난했다.

이 팀장은 “현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노동개혁5법과 양대 지침(안)에 기업에 부담이 되는 내용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경제계는 국민의 기대에 부응하기 위해 대화에 최선의 노력을 다했다”면서 “노동계도 노사정대타협 파기 선언을 철회하고 노사정 대화와 조속히 복귀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한국경영자총협회 역시 이날 입장자료를 통해 “한국노총의 노사정 대타협 파기는 청년들의 고용위기 극복을 위해 고통을 분담하자고 뜻을 함께 했던 당사자가 합의문에 서명한 지 4개월도 채 지나지 않은 시점에서 대타협을 없던 것으로 되돌린 것”이라며 “1998년 노사정위원회가 출범한 이래 지금까지 노사정 합의가 파기된 사례는 없었다”고 비난했다.

경총은 “우리 젊은이들의 고용창출과 노동시장의 공정성을 논의하는 노사정위원회는 민생과 직결된 회의체”라며 “한국노총은 근로자와 구직자들을 위해서라도 끝까지 대화를 포기해서는 안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경총은 “언제든지 대화의 장은 열려 있고 논의의 기회는 마련되어 있다”면서 “경영계는 지금이라도 한국노총이 9. 15 합의를 이끌었던 사회적 책무를 바탕으로 대타협 파기선언을 철회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박영국 기자 (24pyk@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관련기사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