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완료, 박 대통령 "깨어나야"
17개 광역시·도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 완료
"인천, 중소·벤처 기업 세계 진출하는 전진기지 돼 주길"
박근혜 대통령은 22일 "고유한 특색과 장점을 갖춘 전국 창조경제혁신센터들이 지역별 강점과 후원기업의 역량을 결합해 대한민국 창조경제를 선도해 나갈 수 있도록 힘과 지혜를 모아달라"고 밝혔다.
박 대통령은 이날 인천 송도 컨벤시아에서 열린 인천 창조경제혁신센터 출범식에서 축사를 통해 "오늘 인천 혁신센터의 출범으로 작년 9월부터 시작된 전국 17개 창조경제혁신센터 구축이 모두 마무리됐다"며 이같이 당부했다.
박 대통령은 또 "인천 센터가 인천의 우수한 인프라 기반과 지리적 강점, 글로벌 물류기업인 한진그룹의 역량을 잘 결합시켜 우리 중소·벤처 기업이 세계로 진출하는 전진기지가 돼 주기를 기대한다"고 주문했다.
또 한중 교류협력 특화플랫폼 구축을 통한 국내 스타트업 중국시장 진출 지원과 관련해서는 "인천 센터는 중국 소비시장 진출을 위한 ‘온라인 보부상’을 집중 양성하고 중화권 전문 온라인쇼핑몰 입점과 현지 마케팅을 지원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러면서 "전통 물류산업에 IT 첨단기술을 접목해 ‘스마트 물류’ 벤처창업을 활성화하고 항공엔진 정비기술 등을 활용한 고부가가치 신성장 아이템 개발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이어 "세계 각국은 지금 급변하는 경제 환경과 신기술 발전에 대응해서 미래 먹거리를 찾기 위해서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면서 "우리도 인천이 갖고 있는 뛰어난 물류 인프라와 입지 조건 위에 전담 기업 한진과 지역 산·학·연의 자원·역량을 연계한다면 인천에 특화된 창조경제 생태계를 조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지난해 9월 대구를 시작으로 대기업 한 곳이 연계해 1대1 맞춤형 지원을 하는 혁신센터 출범식에 꾸준히 참석해왔고 이날까지 모두 17곳이 출범을 완료했다.
이날 출범한 인천 혁신센터는 동북아 물류허브 인천을 스마트 물류의 거점으로 조성하는 데 주력한다. 물류와 IT가 결합한 ‘스마트 물류 벤처 육성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한편 항공정비, 자동차 소재·부품 분야 강소기업도 육성한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한진그룹과 인천시 등은 스마트 물류, 중국진출 스타트업 기업 등을 육성하고자 1590억원 규모의 특화산업별 펀드를 조성한다. 정부와 기업, 병원, 대학 등 77개 기관도 이날 출범식에서 △첨단 물류기술 기반 신산업 창출 △중소·벤처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 △한중 교류협력 특화 플랫폼 구축 등 13개 분야의 양해각서(MOU)를 체결, 인천 혁신센터의 역할을 측면 지원한다.
박 대통령은 중소·벤처기업의 수출물류 경쟁력 제고와 관련해서는 "최근 농수산식품유통공사와 대한항공이 협력해 국내 새송이 버섯의 유럽수출을 10배 이상 대폭 증가시킨 성공사례가 있다"며 "인천 센터는 이런 사례가 확산될 수 있도록 전국 혁신센터의 농수산 지원 프로그램과 유관기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새로운 수출 유망 품목과 지역을 발굴하겠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서 진행된 지역 산·학·연 관계자들과의 오찬 간담회에서 "최근 우리 경제상황을 보면, 세계경제의 성장세 둔화와 내수 부진 등으로 주력 산업은 물론, 지역경제도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위한 새로운 성장 엔진이 바로 아이디어와 신기술, 신산업,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라며 "이젠 대한민국 전체가 창조경제로 거듭 깨어나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그동안 민·관이 함께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노력해 온 결과 지난해 벤처펀드 신규 조성액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벤처기업 수가 3만개를 돌파하는 등 창업 환경이 호전되고 있다"면서 "세계적 기업들과 국제기구도 창조경제의 가능성에 주목하면서 국내 벤처기업에 대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바야흐로 우리나라에 제2 창업·벤처 붐이 형성되고 있는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정부는 작년 9월 대구를 시작으로 전담 기업을 연계해 전국에 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치해왔는데, 오늘 인천센터를 끝으로 전국 17개 광역시·도의 (센터) 설치가 마무리됐다"면서 "드디어 대한민국 창조경제가 도약할 준비를 마친 것"이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