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당 책임' 전제달았지만, 정두언 "4자방 국조"
"이명박 정부는 실패, 나는 거기에 대한 책임이 큰 사람"
정두언 새누리당 의원은 24일 야당이 주장하는 ‘4자방(4대강·자원외교·방위산업) 비리’ 국정조사 요구에 대해 “아무런 성과가 없다면 야당도 거기에 대한 일부의 책임을 지는 것을 전제로 해서 국정조사를 해야 된다”고 밝혔다.
이명박 정부 초기 ‘왕의 남자’로 불린 정 의원은 이날 오전 SBS라디오에 출연해 “아무 잘못이 없다면 국정조사가 아니라 그 이상도 반대할 이유가 없다고 생각하는데, 문제는 지금까지 국회에서 국정조사를 통해서 뭘 제대로 밝혀본 적이 한번도 없다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의원은 지난 2012년 자신의 블로그에 한 전직 대사의 자원외교 비판 글을 실은 것에 대해서는 “자원외교라는 게 사실은 어이가 없는 이야기”라며 “우리가 물건을 사러 가면서 ‘나 그거 사러간다’라고 공표를 하면 그 사람들이 얼마나 값을 올리겠는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더군다나 ‘어마어마한 사람이 간다’, ‘우리가 성과를 꼭 내야 된다’ 등 팡파르를 울리면서 가면 그게 얼마나 바보같은 장사인가”라면서 “그런데 자원외교라는 게 그런 격이다. 그러니까 개념이 잘못됐다는 이야기”라고 꼬집었다.
“이명박 정부는 실패했다. 나는 거기에 대한 책임이 큰 사람”
정 의원은 또 조만간 발매될 자신의 자서전에 대해 “나는 이명박 정부 탄생에 일익을 담당했던 사람”이라며 “이명박 정부가 성공을 했어야 되는데 실패했다. 그래서 거기에 대한 책임이 큰 사람”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정말 어떻게 해서 그렇게 됐는지, 거기에 대한 나의 이야기를 이제 고백을 해야 한다”며 “사실 이명박 정부만 그런게 아니라 모든 정부가 다 그래왔는데, 거기에 참여한 사람으로서 정말 자성을 하면서 거기에 대한 교훈을 (담고) 싶었는데 아직 정리가 안 됐다”고 덧붙였다.
이와 함께 정 의원은 최근 당내 보수혁신위원회의 혁신안에 대해 “지금 권력과 뼈대는 건들지 않고 치장만 바꾸고 있는 것”이라며 “그러니까 국민들의 관심을 못 얻고 의원들의 반발만 산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공천권 때문에 정치인들이 국민이 아닌 권력의 눈치를 보는 것이다. 그런 당의 구조를 바꿔야 하는데 그것은 놔두고 국회의원부터 바꾸려고 하니까 순서가 틀렸다”면서 “달을 가리키는데 달을 안 보고 손가락을 자꾸 보는 격”이라고 비판했다.
“옛날같으면 형장의 이슬로 사라졌을텐데 살아 돌아와서 다행”
아울러 2년 넘는 재판 끝에 불법정치자금 수수혐의 무죄 선고를 받은 소회에 대해 “아직 실감이 잘 안난다. 관성의 법칙 때문인지 뭔가 걱정을 계속 해야 될 것 같다”며 “사실 옛날 같으면 내가 형장의 이슬로 사라져야 됐을 텐데, 이만하고 살아 돌아와서 정말 다행”이라고 털어놨다.
정 의원은 ‘억울하다는 생각이 들진 않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정말 불만이 없다. 잃은 것보다 얻은 게 너무 많다”면서 “무엇보다 내가 교만하게 살았다는 것을 깨닫게 된 게 제일 기쁘다. 내가 별게 아닌 존재라고 생각하니까 편해지더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