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제, 창원, 울산' 영남지역 해안벨트 분양시장 '후끈'
거제시, 신규 입주 물량분에 비해 인구 증가 속도 빨라
울산시·창원시, 개발호재 풍부 등으로 분양열기 이어져
최근 지방 분양시장에서 영남 해안벨트 지역(거제·창원·울산)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뜨겁다. 이들 지역은 신규 입주 물량에 비해 인구 증가 속도가 빠른 데다 지방혁신도시, KTX 역세권 등의 배후 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13일 부동산정보업체 리얼투데이에 따르면 거제시 가구수는 2010년 이후 올해 9월말까지 1만1649가구가 증가했다. 반면 같은 기간 입주물량은 5374가구에 그친 것으로 조사됐다. 이렇다보니 거제시의 평균 청약경쟁률은 2013년 이후 현재까지 32대 1에 달했으며 모두 1순위 내에서 청약접수가 마무리 됐다.
실제, 지난 5월 경남기업이 경남 거제시 옥포동에서 분양한 'e편한세상옥포'는 133가구 모집에 1순위에서만 총 6776명이 몰려 평균 50.9 대 1의 경쟁률을 보였다. 지난해 12월 유림E&C가 거제시 장평동에서 분양한 주상복합 '거제 장평 유림노르웨이숲'도 일반분양 284가구 모집에 평균 23.19 대 1의 경쟁률로 청약 1순위에서 마감했다.
분양경쟁에 불이 붙으면서 분양권에도 웃돈이 형성되는 추세다. 입주를 앞둔 거제시 상동동 '벽산e-솔렌스힐 3차' 전용면적 84㎡의 경우 2억4300만 원 선에 분양을 했지만 현재 1000만원 가량 프리미엄이 형성됐다. 거제시의 한 공인중개사는 "거제시에는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의 조선소가 위치해 있어 배후수요가 풍부한 지역"이라면서 "거제시는 해마다 인구가 지속적으로 유입되고 있어 대기수요가 풍부하다"고 말했다.
거제뿐 아니라 울산과 창원 분양시장에도 훈풍이 불고 있다. 이 두 지역에는 산업단지들이 밀집해 있어 배후수요가 풍부하기 때문이다. 창원시는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의 직접적 수혜가 예상되며 울산시는 우정혁신도시, KTX울산역세권 개발 등의 개발호재를 품고 있다.
건설사들은 인구유입, 개발 호재 등의 장점을 발판삼아 거제·창원·울산 지역에 연내 신규 물량을 공급한다.
먼저, 현대산업개발은 거제시 양정동에 ‘거제 아이파크’ 10월 말에 분양할 계획이다. 전용면적 84~102㎡로 구성되며 995가구가 공급된다. 삼성중공업과 대우조선해양 등이 가까워 배후수요가 풍부할 전망이다. 거제시 도심과 가까워 생활편의시설을 이용하기도 쉽다. 상동-신현 간 간선도로를 이용하면 고현동 구도심까지 차량 10분, 삼성중공업까지 15분이면 도달 가능하다. 또 신현터널을 이용하면 대우조선해양까지 차량 10분 거리다.
포스코건설은 경남 창원시 성산구 가음동에 재건축아파트 ‘창원 더샵 센트럴파크’를 10월쯤 분양한다. 이 아파트는 총 1458가구 대단지아파트로 건립되며 이 중 318가구가 일반에 분양된다. 전용면적은 59~117㎡로 다양하게 구성된다. 창원국가산업단지도 인접해 있어 배후수요가 풍부할 전망이다.
동원개발은 울산 울주군 범서읍 장검지구에 문수산 ‘동원로얄듀크’를 11월에 분양한다. 전용면적은 84~99㎡로 구성되며 625가구를 분양한다. 울산고속도로 울산IC와 부산울산고속도로 울산JC가 가까이 있다. 울산고속도로는 경부고속도로와 연결돼 있어 서울로 이동하기 편리하다. KTX울산역이 차량 10분 거리다. 문수산과 영축산, 태화강이 가까워 여가활동을 즐기기 좋다.
울산 북구 호계·매곡지구에서는 아이에스동서가 메머드급 아파트 ‘드림in시티 에일린의 뜰(1차)’를 10월에 분양한다. 아파트는 12개 동 최고 34층 규모로 건립되며 총 2462가구가 공급된다. 이 중 1차분으로 전용 71~101㎡, 1275가구가 먼저 분양된다. 단지는 매곡지방산업단지와 중산산업단지가 가깝다. 2016년, 오토밸리로가 개통되면 현대자동차,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등까지 20분대로 이동이 가능해진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