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인구경쟁력, 2030년 OECD 국가 중 하위권
산업연구원, 저출산 현상 지속과 급격한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분석
우리나라의 인구경쟁력이 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인해 2030년에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29개 중 하위권인 21위를 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산업연구원은 11일 OECD 29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인구경쟁력의 국제 비교와 정책과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경쟁력 순위는 2010년 17위(0.380)에서 2020년 16위(0.460)로 올라서지만 2030년 21위(0.414)로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순위가 하락하는 것은 저출산 현상 지속과 급격한 고령화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또한 인구경쟁력 지수 중 한국의 경제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4위, 2020년 21위, 2030년 23위로 하락하며 한국의 사회활력 경쟁력 지수는 2010년 17위에서 2020년 4위로 올랐다가 2030년 21위로 급격히 하락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2030년 기준 인구경쟁력 1위는 이스라엘(0.607)이었으며 경제활력 지수와 사회활력 지수는 미국과 이스라엘이 각각 1위를 차지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