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정병국 "안전부지사"에 남경필 "현실성 떨어져..."


입력 2014.05.07 19:28 수정 2014.05.07 19:33        백지현 기자

7일 TV토론에서 두 예비후보 재난현장 안전대책에 이견 드러내

남경필, 정병국 새누리당 경기도지사 예비후보가 14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함께 네거티브 없는 클린 경선을 선언한뒤 함께 손을 잡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세월호 침몰사건이 발생했던 16일 남경필-정병국 의원은 진도로 내려가 열흘간 현장에 머물면서 사고수습과정을 함께 지켜봤지만, 재난에 따른 안전대책에는 이견을 보였다.

7일 오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경인방송 사옥에서 열린 6.4 지방선거 새누리당 경기도지사 경선 TV토론 모두발언에서 두 의원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 대해서는 동감했다. 그러나 이어진 ‘경기도 재난 안전대책에 대해 어떤 구상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정 의원은 “컨트롤타워 부재와 부처간 혼란을 봤다”며 “도지사가 되면 안전처를 설립하고 안전부지사, 또 권역별로 거점 소방서를 만들어 재난이 일어나면 거점의 소방서장이 현장을 지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서장에게 모든 전권을 부여해 긴급조치권을 부여하고 선조치 후보토록 하겠다”며 “또 구호물자가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스마트 구조 시스템을 구축하고, 민원창구를 일원화해 원스톱민원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남 의원은 “경기 안전처를 만들겠다고 했는데 이것은 정부의 중앙 안전처를 대비한 것으로 본다. 또 부지사직을 만든다고 했는데 현실가능성이 떨어진다”며 “행정직이 또 다른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것은 이번 사고에 나타난 문제점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5분 안에 현장에서 전문가가 지시를 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그런 사람이 없었다”면서 “또 현장전문가가 군이나 경찰을 관장할 수 없다. 한 시간, 24시간 72시간씩 나눠서 정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남 의원이 생각하는‘생명안전망’은 재난을 예방하고 통제,관리하면서 효과적인 사후대책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 것이다. 또한 골든타임내 구조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을 잘 알고 현장을 지휘할 수 있는 전문가가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정 의원은 “남 의원과 열흘 동안 현장에 같이 있었는데 보는 관점이 다른 것 같다”며 “처음부터 현장의 책임자는 현장을 잘 아는 사람에게 전권을 주는 것이 맞다. 이번에도 해수부 장관에서 해양청장으로 바뀌는 등 혼선을 가져왔다”고 응수했다.

이어 정 의원은 “워낙 긴박하게 돌아가는 현장에서 처음 본 사람이 상황을 제일 잘 안다. 72시간 뒤에 하는 데는 인수인계하는데도 시간도 걸린다”고 반박하자 남 의원은 “항상 대기는 하고 있다가 5분안에 현장에 들어가면 현장전문가가 지휘를 하고 전체컨트롤타워로 넘어가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 의원은 “사건이 터지면 대기하고 있던 현장 전문가를 현장에 바로 투입해야 한다. 조난을 하는 것은 해경, 해양수산부가 총체적으로 해야 하지 않느냐. 그런데 주변의 보살핌은 현장 전문가가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백지현 기자 (bevanila@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백지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