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병국 "안전부지사"에 남경필 "현실성 떨어져..."
7일 TV토론에서 두 예비후보 재난현장 안전대책에 이견 드러내
세월호 침몰사건이 발생했던 16일 남경필-정병국 의원은 진도로 내려가 열흘간 현장에 머물면서 사고수습과정을 함께 지켜봤지만, 재난에 따른 안전대책에는 이견을 보였다.
7일 오후 경기도 부천시 오정구 경인방송 사옥에서 열린 6.4 지방선거 새누리당 경기도지사 경선 TV토론 모두발언에서 두 의원은 세월호 참사에 대한 정부의 미흡한 대응에 대해서는 동감했다. 그러나 이어진 ‘경기도 재난 안전대책에 대해 어떤 구상을 하고 있느냐’는 질문에 대해서는 이견을 드러냈다.
정 의원은 “컨트롤타워 부재와 부처간 혼란을 봤다”며 “도지사가 되면 안전처를 설립하고 안전부지사, 또 권역별로 거점 소방서를 만들어 재난이 일어나면 거점의 소방서장이 현장을 지휘하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어 “서장에게 모든 전권을 부여해 긴급조치권을 부여하고 선조치 후보토록 하겠다”며 “또 구호물자가 적재적소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스마트 구조 시스템을 구축하고, 민원창구를 일원화해 원스톱민원시스템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이에 남 의원은 “경기 안전처를 만들겠다고 했는데 이것은 정부의 중앙 안전처를 대비한 것으로 본다. 또 부지사직을 만든다고 했는데 현실가능성이 떨어진다”며 “행정직이 또 다른 컨트롤타워를 만드는 것은 이번 사고에 나타난 문제점을 반복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남 의원은 “5분 안에 현장에서 전문가가 지시를 하는 사람이 있어야 하는데, 이번에는 그런 사람이 없었다”면서 “또 현장전문가가 군이나 경찰을 관장할 수 없다. 한 시간, 24시간 72시간씩 나눠서 정책을 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남 의원이 생각하는‘생명안전망’은 재난을 예방하고 통제,관리하면서 효과적인 사후대책을 통해 피해를 최소화하 것이다. 또한 골든타임내 구조활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재난을 잘 알고 현장을 지휘할 수 있는 전문가가 현장에 가장 먼저 도착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이에 정 의원은 “남 의원과 열흘 동안 현장에 같이 있었는데 보는 관점이 다른 것 같다”며 “처음부터 현장의 책임자는 현장을 잘 아는 사람에게 전권을 주는 것이 맞다. 이번에도 해수부 장관에서 해양청장으로 바뀌는 등 혼선을 가져왔다”고 응수했다.
이어 정 의원은 “워낙 긴박하게 돌아가는 현장에서 처음 본 사람이 상황을 제일 잘 안다. 72시간 뒤에 하는 데는 인수인계하는데도 시간도 걸린다”고 반박하자 남 의원은 “항상 대기는 하고 있다가 5분안에 현장에 들어가면 현장전문가가 지휘를 하고 전체컨트롤타워로 넘어가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남 의원은 “사건이 터지면 대기하고 있던 현장 전문가를 현장에 바로 투입해야 한다. 조난을 하는 것은 해경, 해양수산부가 총체적으로 해야 하지 않느냐. 그런데 주변의 보살핌은 현장 전문가가 다 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