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침몰 당시 생사를 넘나드는 상황에서도 자신의 목숨보다 타인을 먼저 구하려다 희생된 5인을 기억하자는 글이 인터넷과 SNS 상에 급속히 퍼지고 있다.
최근 온라인 게시판과 각종 SNS를 통해 ‘잊어선 안 될 5인의 세월호 의인들’이라는 제목의 글이 게재되고 있다. 여기서 거론된 5인은 단원고 정차웅(18)군, 교사 남윤철(35)씨, 교사 최혜정(24·여)씨, 세월호 승무원 박지영(22·여)씨, 세월호 사무장 양대홍(45)씨로 생전에 이들이 남긴 마지막 말과 사연이 해당 글에 간략히 담겨있다.
우선, 정차웅 군은 사고 당시 구명조끼를 친구에게 벗어준 학생이다. 검도 3단의 유단자로 체육학도 꿈을 키우던 정 군은 또 다른 친구를 구하려다가 생일을 하루 앞두고 숨져 주변의 안타까움을 자아냈다.
교사 남윤철 씨는 침몰 마지막까지 제자들의 탈출을 돕다가 결국 세월호에 빠져나오지 못해 사망했다. 올해로 교사 7년째인 남 씨는 학생들 사이에서 평소 친구 같던 선생님으로 기억될 정도로 덕망받는 교사로 나타났다.
사고 당시 먼저 선박을 빠져나온 선장과 대다수 선원들과 달리 배가 침몰할 당시 “승무원들은 마지막까지 있어야 한다. 너희 다 구하고 나도 따라가겠다”고 말했던 승무원 박지연씨의 마지막 말도 해당 글에 언급됐다.
또한, 아직까지 실종상태로 남겨진 세월호 사무장 양대홍 씨는 아내와 전화통화해서 “수협 통장에 돈이 좀 있으니 큰아들 학비 내라. 지금 아이들 구하러 가야 한다”며 서둘러 통화를 마쳤던 것으로 알려져 주변 사람들의 가슴을 먹먹하게 만들었다.
현재 온라인상에서 이들 5명을 기리는 글이 퍼지는 것과 함께 의사자 지정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면서 청원운동까지 벌어지고 있는 상황이다.
해당 글을 접한 네티즌들은 “오래도록 기억하겠습니다” “이 분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실종자들이 더 많이 살아오길를” “무책임한 선장, 선원들은 이 분에게 석고대죄해야 한다” “왜 늘 이렇게 착한 분들은 일찍 떠나시는지.. 하늘도 무심하다”고 적는 등 다양한 의견을 쏟아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