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안철수 공천폐지? 야권분열 불확실성 해소"
정당공천 유지 방침에 "정치적 책임 질 용의 있다"
민주당이 24일 새정치연합의 기초선거 정당공천폐지 선언과 관련, “야권분열 불확실성이 해소됐다”면서 자당의 정당공천 유지 방침을 시사했다.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이날 오전 대변인실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안철수는 안철수의 길이 있고, 우리는 우리의 길이 있다”라며 “차라리 편해진 것 아니냐”고 말했다. 그간 당론 확정을 내세워 정부여당을 압박해왔으나, 이번 일을 계기로 사실상 폐지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최 본부장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우선 “박근혜 대통령에게 25일까지 입장을 밝힐 것을 촉구했으니, 결과를 보고 최고위나 대표가 결단을 내릴 것”이라면서도 “다만 그 결단이 어떨지에 대해서는 아직 알지 못한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며 한 걸음 뒤로 빼는 모습을 보였다.
특히 ‘26일에는 민주당도 결론을 내야하지 않느냐’며 내부의 의견 수렴 현황을 묻는 질문에 그는 “공천 유지 쪽이 강력했다고 보고 있다”고 못 박았다.
이어 최 본부장은 앞서 언급한 ‘불확실성’에 대해 “만약 양쪽 다 공천을 한다면 여러 난점이 있을 수 있고 실제 경쟁에서도 지자체간 분열이 일어날 수 있다”면서 “이제 예측이 가능해졌으니 나름대로 전략적 선택지가 분명해진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기자간담회에서는 민주당이 지금껏 공천 폐지를 주장해왔으나 사실상 유지로 방향을 튼 데 대해 ‘스스로 약속을 파기한 것이라고 해석하느냐’는 질문도 제기됐다.
이에 최 본부장은 잠시 난감한 표정을 보이며 새누리당과 민주당이 교육감 선거에서 각각 임명제와 직선제를 주장하는 상황을 비유로 들며 답했다.
그는 “역설 같지만 임명제가 채택되지 않으면 새누리당은 어떻게 하겠나. 일찍 교육감선거에서 손을 떼거나 후보군에 대한 일체의 관심을 배척하거나, 혹은 교육감 선거 자체를 보이콧 할 수 있을지에 대해서도 한번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면서 “유사한 비유가 될지는 모르겠지만, 그것을 두고 법을 지켰다고 할지, 약속 파기라고 할지...”라며 말꼬리를 흐렸다.
그러면서 “일단 정책결단이라 보고, (정당공천 유지)판단에 대해 정치적 책임을 질 용의가 있다는 것을 밝혀둔다”고 덧붙였다.
최 본부장에 따르면, 현 시점에서 민주당 소속 기초단체장들은 공천제 폐지에 대해 약 50:50으로 팽팽한 입장차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광역단체장의 경우 공천을 유지해야한다는 입장이 상당히 우세하다.
'공약 불이행, 상황 달라졌으니 새누리와 다르다?' 질문에 "그렇다"
대통령과 새누리당의 ‘공약파기’를 지적하지만, 민주당 역시 사실상 대선공약을 뒤집겠다는 셈이다.
이에 대해 기자간담회에 동석한 최원식 의원은 “그래도 시간 여유가 좀 있었으면 했는데”라며 “이 부분은 당의 근간을 흔들 만큼 큰 문제인데 (모든 당원과 논의하기에는)도저히 물리적으로, 시간이 부족해 좀 힘들더라”고 고백했다. 핵심당원의 대거 탈당이 불가피한 상황에서 현실적으로 공천폐지를 감행하기는 어렵다는 것이다.
최 의원은 특히 ‘새누리당이 입장을 바꿨으니 그때(새누리당도 공천폐지를 주장했던 당시)와는 상황이 다르다는 해명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한 뒤, 핵심당원 3만명 정도가 탈당 할 수밖에 없는데 당 입장에서 그런 사태를 보고 강행할 수 있겠느냐는 의견이 주로 제시 됐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에 따라 공천제를 폐지하면 안 된다는 입장이 대다수였다”고 덧붙였다.
그러자 취재진 측에서 또다시 ‘새누리당이 위헌인지 몰랐다고 하는 것과 같은 대답 아닌가’라는 질문이 나왔고, 최 의원은 굳은 표정으로 “그건 좀 앞서 나가는 것 같은데”라고 운을 뗀 후, “공약을 처음 할 때는 공약한 것을 지키겠다는 의지로 여러 가지를 고려하고 생각하는 것”이라며 “그건 무리한 해석이 아닌가 싶다”는 말로 답변을 서둘러 마무리했다.
한편 민주당은 오는 6.4 지방선거의 전략으로 ‘정권 심판론’보다는 ‘견제론’을 전면에 내세울 것으로 보인다.
최 본부장은 “심판이냐 견제냐를 놓고 여론조사를 해본적은 있지만, 대통령 지지율과 새누리당 지지율이 상당히 견고한 상태에서 심판론보다는 견제론이 좀 더 강하게 나오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전체적 정국 상황이 변화할 수 있고 아직 선거도 100일이 남았기에 얼마든지 민심이 변화할 수 있다”면서도 “하지만 현재로서는 여론조사에 바탕 둘 때 심판보다는 견제가 더 먹힌다는 판단이다”라고 말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