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세균, 안철수 겨냥 "창당도 좋고 새정치도 좋지만..."
"가장 선진적인 정치과정이 선거연합…양보와 타협이 나쁜 일인가"
정세균 민주당 상임고문이 16일 “권력을 선용해 지지자와 국민의 요구에 부응하려면 연합은 유용하고 현실적인 길”이라며 “양보와 타협이 나쁜 일인가”라고 말했다.
2010년 지방선거에서 야권연대를 이끌어냈던 정 고문은 이날 ‘2010년은 오래된 미래다’라는 보도자료를 통해 “창당도 좋고, 새정치도 좋지만, 모든 과거를 구태로 모는 행태야말로 구태”라며 야권연대에 있어 거리두기를 하는 안철수 무소속 의원 측을 강하게 비판했다.
그는 “보수 우위의 기울어진 운동장이 돼 민주당은 지역적으로 호남에 고립되고, 이념적으로 빨갱이로 몰렸지만 그럼에도 집권해 남북교류협력, 복지확대와 균형발전의 기틀을 놨다”며 “이 모두가 연합정치 없이는 상상할 수 없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2010년 야권연대는 연합정치의 새 장을 열었다”며 “연합에 참여한 모든 주체는 유연하게 협력하고 경쟁하는 민주적 태도를 학습했다. 야권연대가 없었다면 무상급식, 무상보육은 ‘사회주의 하자는 것이냐’라는 공격에 무기력하게 좌초되고 말았을 것”이라고 했다.
정 고문은 그러면서 “모든 선진국에서 일어나는 가장 선진적인 정치과정이 선거연합”이라며 “내각제만이 아니라 대통령제 국가도 마찬가지다. 집권은 관심 없고, 선전이 목적인 운동정당이 아니라면 연합 없이 어떻게 선거에서 이긴단 말인가”라고 지적했다.
그는 “양보와 타협이 나쁜 일인가. 서로 흡족할리 없지만, 투명하게 주고받아 결과적으로 유권자의 요구에 부응하는 것이야말로 정당의 본분”이라며 “연합정치는 국민의 성원에 보답하고 지지에 책임지는 자세”라고 거듭 강조했다.
정 고문은 이어 “4년 전에 비하면 이번 선거는 연합을 위한 조건이 훨씬 성숙돼있다. 박근혜 정권의 공약통치, 공약파기에 대한 심판의 열기는 어느 때보다 뜨겁다”며 “역사의 퇴행에 대해 국민들이 표로 심판할 기회를 빼앗을 권리는 아무에게도 없다. 정책만 봐도 그렇다. 안철수 신당 측과는 지난 대선을 통해 정책 차이를 거의 확인하기 어려웠다”고 말했다.
그는 또 “경제민주화와 복지확대의 흐름 속 진보세력과 민주당 간 거리도 매우 좁아졌다. 비슷한 정책을 지지하는 유권자들이 서로 다른 정당을 지지한다는 이유로 선거에서 대표되지 못한다면 그 책임은 누구에게 물어야 하느냐”라며 “민주당 좋을 일 하지 않겠다며 국민들 해로울 일은 해도 되는가”라고 질타했다.
정 고문은 그러면서 “(이는) 얼마든지 조정하고 타협할 수 있는 일”이라며 “연합의 경험을 축적해 나가도 모자랄 판에 판을 깨자는 소리가 여기저기서 들려오니 정말 걱정된다”고 말했다.
정 고문은 “지방선거는 현 정권에 대한 중간평가의 성격을 갖는다. 정권의 불통과 공약파기, 잘못된 국정방향을 되돌릴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민주당의 선거승리”라며 “민주당이 뼈를 깎는 반성과 성찰을 바탕으로 이번 지방선거에서 연합정치 이상의 성과를 낼 수 있도록 혼신의 노력을 쏟아야함은 두말 할 필요가 없다”고 덧붙였다.
그는 “옛것에서 배워 새로운 것을 깨닫는 것이 새정치”라고도 했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