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새누리 "4자회담 이견 좁혀가" 민주 "보는 눈 달라"


입력 2013.12.03 10:50 수정 2013.12.03 10:56        조소영 기자/백지현 기자/이슬기 기자

새누리 "역지사지하면서 합의하도록 머릴 맞댈 것"

민주 "선택은 박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진정성 보여야"

최경환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문재인 민주당 의원을 비판하고 있다. ⓒ데일리안 박항구 기자

전병헌 민주당 원내대표가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이야기하고 있다. ⓒ데일리안 홍효식 기자

여야가 ‘2차 4자회담’에 앞서 또다시 팽팽히 맞섰다.

3일 국회에서 열리는 4자회담을 두고 새누리당은 이견을 좁히고 있다고 했고, 민주당은 새누리당의 태도가 변하지 않으면 그럴 일은 없을 것이라 못박았다. 지난 2일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와 최경환 원내대표, 민주당 김한길 대표와 전병헌 원내대표는 꽁꽁 언 정국을 풀기 위해 만남을 가졌으나 고성만 오가는 등 실익 없이 회담을 끝냈다.

최 원내대표는 빈손으로 끝난 ‘1차 4자회담’에 대해 “정국 현안 해법과 민생을 위한 예산 방안을 놓고 많은 얘기가 있었다”고 평한 뒤 “아직 접점을 완벽하게 찾지 못하고 있지만, 이견을 좁히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최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역지사지하면서 합의할 수 있도록 머릴 맞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국민과 시장을 극도로 불안하게 하는 준예산 편성은 결코 없을 것이고, 민생법안을 확실히 처리할 것”이라며 “믿음을 드려야 국민 신뢰도 되찾을 수 있을 것이다. 생산적인 회담이 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2차 4자회담’에 임하는 각오를 밝혔다.

김기현 정책위의장도 최 원내대표에 힘을 실었다. 그는 “여야가 다시 머릴 맞대고 논의할 예정인데 민생경제를 살리고 국민 생활고를 덜어드리는 것이 최우선 책무라는 걸 이해하고 민생을 위한 결론이 도출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국민의 고통을 덜기 위한 법안을 단 한 건도 처리하지 못하고 예산은 상정조차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라며 “참으로 부끄러운 국회의 자화상”이라고 민주당을 압박했다.

홍문종 사무총장도 대동소이한 기조를 이어갔다. 그는 “3개월간 1건도 법안을 처리하지 못했으며, (일각에선) 식물국회를 넘어 국회해산을 말하고 있다”며 “어떤 낯으로 국민을 봐야하나”라고 말했다. 그는 여야 회담 대표들을 향해 “오직 민생을 생각하며 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달라”고 주문했다.

반면 상대적으로 민주당은 차가웠다.

전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1차 4자회담’에 대해 “정국을 보는 눈이 확연히 다르단 걸 확인했다. 눈도, 생각도 다르다”고 혹평한 뒤 “공은 새누리당에 넘어갔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어제는 빈손이었지만, 오늘도 ‘만남을 위한 만남’이어선 안될 것”이라며 “새누리당의 전향적이고 진전된 입장과 태도 변화가 있어야 한다”고 촉구했다.

그는 “대화·타협하자는 야당을 무시하는 불통정치, 야당을 국회에서 밀어내는 독선정치가 계속되고 있다. 불통·독선의 정치는 결코 의회민주주의가 아니고, 민주정치는 더더욱 아니다”라며 “민주당은 정국 정상화, 국회 정상화를 바라고 있다”고 강조했다.

전 원내대표는 이어 “선택은 박근혜 대통령과 새누리당에 달려있다. 새누리당의 진정성 있는 태도 변화를 다시 요구한다”며 “국회를 정상적으로 운영하고, 정국을 책임있게 운영하는 책임과 의무는 여야 모두에게 있지만, 특히 박 대통령과 집권여당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박 대통령이 ‘1차 4자회담’이 열리는 도중 황찬현 감사원장·김진태 검찰총장·문형표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의 임명을 진행한데 대해 “참으로 어처구니없다. 이는 야당을 무시하는 것은 물론 여당 지도부에 대한 무시이고, 최소한의 예의와 금도를 깬 무도한 정권임을 확인한 것”이라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국민들이 무도한 정권의 실상에 대해 심판하고 판단할 것”이라고 질타했다.

한편, 여야 대표 4인은 이날 오전 10시부터 국회 본청 국회의장 접견실에서 4자회담을 시작했다. 국가정보원(국정원)을 비롯한 주요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사건에 대한 특별검사제(특검) 도입 및 국정원 개혁을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새해 예산안 및 법안 처리 등이 논의될 예정이다.

하지만 국가기관 대선개입 의혹사건에 관한 특검 도입 문제를 두고 여야간 이견을 좁히지 못한다면 회담은 또다시 무산될 가능성이 크다. 앞서 ‘1차 4자회담’에서도 이 문제와 관련, 새누리당은 반대, 민주당은 도입이라는 견해차를 좁히지 못해 ‘빈손회담’이 됐다.

조소영 기자 (cho11757@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소영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