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수분이라도..' 두산, 이탈 연쇄반응 여파 절감
홍성흔·오재원·이원석 부상 결장 영향 공격력 저하
타선 강화 위해 최재훈 대신 양의지에 포수 맡겨
두산 베어스의 원천은 '화수분 야구'다.
누가 나와도 제 몫을 한다. 주전들이 부상해도 그동안 실력을 갈고 닦았던 대체 선수들이 최소한 주전들의 80% 이상 몫을 한다. 문제는 주전들이 모두 나가고 대체 선수들만 뛰었을 때다. 주전들이 나갔을 경우 대체 선수들을 고루 기용하는 작전을 펼칠 수 있지만 대체 선수들로만 경기를 치른다면 그만큼 작전 운용의 폭이 좁아질 수밖에 없다.
7전 4선승제의 한국시리즈에서 4차전까지 3승1패로 앞섰던 두산이 29일 잠실구장서 열린 ‘2013 한국야쿠르트 세븐 프로야구’ 한국시리즈 5차전에서 삼성에 5-7로 지면서 대구로 내려가게 됐다. 즉, 추격의 신호탄을 맞은 셈이다.
이날 두산의 타선이나 수비 모두 작전 운용의 폭이 이전보다 훨씬 좁아졌음을 느낄 수 있었다. 3루를 든든히 지키던 이원석에 이어 오재원과 홍성흔까지 부상으로 결장한 탓이 크다.
무릎이 좋지 않아 4차전부터 주전 라인업에서 빠진 홍성흔 때문에 지명타자 자리에는 최준석이 서고, 1루수에는 오재일이 기용되고 있다. 홍성흔이 주전에서 계속 좋은 타격감을 보여준다면 최준석과 오재일이 번갈아 설 수 있어 체력을 비축할 수 있다. 하지만 최준석과 오재일이 동시에 기용됨에 따라 결정적인 순간 해결사 역할을 해줄 대타 요원이 하나 사라졌다.
이로 인해 연쇄반응이 일어난다. 그만큼 공격력이 약하니 포수 마스크를 양의지에게 맡길 수밖에 없다. 최재훈이 포스트시즌 들어 발군의 기량을 선보이고 있지만 아무래도 공격력에 있어서는 김진욱 감독의 확실한 신뢰를 받지 못하고 있다. 그러다 보니 포스트시즌 내내 눈부셨던 최재훈의 투수 리드도 볼 수 없다. 공격뿐만 아니라 수비에서도 작전 운용의 폭이 좁아진 셈이다. 물론 양의지 역시 투수 리드가 나쁜 편은 아니지만 최재훈만큼은 아니다.
그래도 오재원이 있었다면 최재훈이 주전 포수로 기용될 여지는 있다. 하지만 오재원까지 햄스트링 부상으로 4차전부터 기용되지 못하고 있다. 오재원이 2루 수비를 맡지 못하게 됨에 따라 유격수와 3루수를 번갈아 보던 김재호가 2루로 건너왔다.
3루수 이원석의 빈자리를 메우던 김재호가 2루로 떠나면서 자연스럽게 3루 자리는 허경민의 것이 됐다. 허경민도 수비를 잘하긴 하지만 공격은 확실하지 못하다. 물론 허경민이 5차전에서 오승환을 상대로 우전 안타를 뽑긴 했지만 타격으로 한국시리즈에서 통할 정도는 아니다.
이는 삼성도 겪고 있는 똑같은 현상이다. 페넌트레이스에서 조동찬에 이어 김상수까지 모두 부상으로 시즌을 접으면서 삼성 역시 하위 타선에서 다리 역할을 해줄 선수들을 잃었다. 대체 선수들이 열심히 뛰고는 있긴 하지만 타선이 시원하게 뚫리지 못하고 있는 것도 조동찬과 김상수의 결장으로 하위 타선에서 맥이 끊긴 영향이 크다.
지금 두산은 외야 요원인 민병헌을 내야로 돌릴 복안까지 갖고 있다. 민병헌이 워낙 수비가 뛰어난 선수이긴 하지만 생소한 내야 자리에서 금방 적응할지가 미지수다. 큰 경기에서 실책 하나가 승패를 좌우한다고 봤을 때 수비 적응 여부가 미지수인 민병헌의 내야수 활용은 상당한 모험이다.
하지만 지금 두산의 공격력으로는 6차전과 7차전에서 공격이 활발하게 터진다는 보장이 없기 때문에 민병헌이 하위 타선에서 기회를 이어주길 바랄 수밖에 없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