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라클 두산’ 가을동화…최악 뚫고 Again 2001?
반전 거듭하며 ‘최악 시나리오’ 뚫고 한국시리즈행
12년 만에 삼성과 맞대결..우승 영광 재현 기대
'미라클 두산'이 반전에 반전을 거듭하는 드라마를 연출, 2013시즌 서울 야구 돌풍의 진정한 주인공으로 등극했다.
정규시즌 4위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한 두산은 준플레이오프에서 3위 넥센을 상대로 2연패 뒤 3연승을 거두는 역스윕을 연출하며 역전승, 플레이오프에서는 잠실 라이벌 2위 LG마저 3승 1패로 제압하고 5년 만에 한국시리즈 진출을 이루는 기염을 토했다.
두산의 한국시리즈 진출은 상상할 수 있는 최악의 시나리오를 극복하고 이뤄낸 결실이라 더욱 값지다. 두산은 정규시즌에서 LG-넥센과의 순위 싸움에 밀렸다.
2위로 플레이오프 직행도 가능했지만 LG와의 시즌 최종전 맞대결 패배로 4위까지 밀려나며 홈 어드밴티지마저 잃고 준플레이오프로 밀려나 상실감이 컸다. 정규시즌 막판까지 주전들의 체력 안배마저 실패, 이래저래 마운드가 열세인 두산으로서는 타격이 더 커보였다.
두산은 넥센과의 준플레이오프 원정 1·2차전을 모두 1점차로 패했다. 그것도 2경기 연속 접전을 펼치다가 끝내기로 패한 것이라 아쉬움이 더 컸다. 분위기는 사실상 넥센으로 이미 넘어간 것처럼 보였다. 그러나 뚝심의 두산은 포기하지 않았다. 3·4차전에는 똑같이 1점차 승리를 거두며 빚을 갚았고 최종 5차전에서는 9회 박병호의 극적인 동점 스리런을 극복하고 8-5 신승하며 역전승을 완성했다.
우여곡절 끝에 플레이오프에서 진출했지만 두산에 주어진 휴식시간은 불과 하루. 이미 플레이오프에 직행해 일주일 이상 휴식을 취한 LG는 최종전까지 매 경기 혈전을 치르고 올라온 두산을 여유 있게 맞이했다.
하지만 준PO의 상승세를 등에 업은 두산은 11년 만에 가을야구가 낯선 LG에 비해 경험과 노련미에서 앞섰다. 두 팀 모두 잠실을 홈구장으로 사용하며 사실상 원정 이동의 부담이 없다는 것도 지쳐있는 두산에 오히려 이득이었다.
두산은 레다메스 리즈 구위에 눌렸던 2차전을 제외하면 내내 LG에 뚜렷한 우위를 점했다. LG는 기본기와 수비에서 두산에 밀렸다. 1·3·4차전에서 LG는 고비마다 번번이 실책으로 자멸했다.
반면 두산은 접전에도 경기력 논란을 자아냈던 준플레이오프에 비해 한층 안정감 있는 수비력으로 LG의 득점기회를 여러 차례 무산시켰다. 믿었던 주전들이 부진하자 대책이 없었던 LG에 비해 두산은 이종욱, 김현수, 홍성흔 등 주전들이 부진하거나 교체된 상황에서도 정수빈, 최준석, 민병헌, 임재철 등이 기대 이상의 활약을 선보이며 빈틈을 드러내지 않았다.
최후의 순간 웃는 자가 진정한 승자라고 했다. 정규시즌에서 LG와 넥센에 아쉽게 밀렸던 한을 포스트시즌에서 되갚은 두산은 이제 24일부터 대구구장서 삼성과 한국시리즈 패권을 놓고 마지막 승부를 시작한다. 두산으로선 21일부터 3일 동안 체력을 보충할 수 있다.
삼성과는 2001년 이후 12년만의 한국시리즈 맞대결이다. 공교롭게도 당시 두산은 3위로 준PO부터 거치고 올라왔음에도 삼성을 격파하며 우승까지 차지한 바 있다. 두산에는 마지막 한국시리즈 우승으로 영광으로, 삼성에는 지금도 지우고 싶은 한국시리즈 잔혹사의 트라우마로 남아있다.
그해 이후 두산은 한국시리즈에만 세 차례 올라 모두 준우승에 그쳤고 삼성은 4번의 한국시리즈 우승을 차지하며 새로운 왕조를 열었다. 3전 4기에 도전하는 미라클 두산, 3연패에 도전하는 끝판왕 삼성, 최후의 승자는 과연 누가될까.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