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 대통령 "유럽 직통 실크로드 특급 뚫려야"
'유라시아 시대의 국제협력' 컨퍼런스, 유라시아 이니셔티브 제시
박근혜 대통령이 18일 “유라시아 동북부를 철도와 도로로 연결하는 복합 물류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궁극적으로 이를 유럽까지 연결해서 부산을 출발해 북한, 러시아, 중국, 중앙아시아, 유럽을 관통하는 ‘실크로드 익스프레스(SRX)’를 실현해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신라호텔에서 열린 ‘유라시아 시대의 국제협력’ 컨퍼런스에 참석해 “단절과 고립, 긴장과 분쟁을 극복하고 소통과 개방으로 평화롭게 교류하며 함께 번영하는 새로운 유라시아를 건설해야 한다”면서 이를 위한 ‘유라시아 이니셔티브(제안)’의 첫 과제로 ‘하나의 대륙’을 제시하며 이 같이 말했다.
박 대통령은 또 “새롭게 열리고 있는 북극항로와 연계해서 유라시아의 동쪽 끝과 해양을 연계하는 방안도 적극 모색해야 한다”면서 역내 전력망, 가스관, 송유관 등 에너지 인프라를 연계하고, 중국의 셰일가스, 동시베리아의 석유·가스 등을 공동 개발하는 유라시아 에너지 협력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더불어 “물리적 장벽 못지않게 무역과 투자를 가로막는 제도적 장벽을 극복하는 일도 중요하다”면서 “현재 논의되고 있는 한·중·일 FTA 등 무역자유화 논의를 가속화하고, 이를 RCEP(역내포괄적경제동반자협정), TPP(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 등과 연계하면 거대한 단일시장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박 대통령은 “이러한 물류, 통상, 에너지 인프라의 토대 위에서 한국과 유라시아 국가들이 서로의 비교우위를 결합해 나간다면 공동번영의 유라시아 시대를 앞당길 수 있을 것이라 확신한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 청와대 관계자는 “대륙을 연결시키는 게 전부가 아니고, 실크로드 익스프레스는 목표를 위한 수단”이라면서 “그럼 무슨 목표를 가지고 가느냐. ‘하나의 대륙’이란 목표를 올리고, 그 수단의 하나로 물리적으로 먼저 연결돼야 하니 철도와 인터넷, 가스관 등의 것들을 연결해가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박 대통령은 “유라시아인들의 창의성이 최대한 발휘되고 산업과 기술 그리고 문화가 융합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서 그 바탕 위에 새로운 경제가 창출되고, 새로운 문화가 어우러지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면서 유라시아 협력을 위한 두 번째 과제로 ‘창조경제’를 접목한 ‘창조의 대륙’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은 경제주체들의 창의성을 기반으로 과학기술과 ICT(정보통신기술)를 접목하고, 융복합을 촉진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창조경제를 새로운 경제발전 패러다임으로 추진하고 있다”면서 창조경제 구현을 통해 시너지를 창출하고, 이는 유라시아 발전에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하나의 대륙’, ‘창조의 대륙’을 만들기 위한 전제조건으로 ‘평화의 대륙’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평화와 안보에 대한 위협은 유라시아의 경제통상과 문화교류를 가로막는 가장 큰 장벽이며, 새로운 유라시아 시대를 열기 위해 반드시 해결해야 할 문제”라며 “최근 세계는 전통적인 안보 이슈 외에도 핵 안전, 자연재해, 기후변화와 같은 다양한 안보 이슈의 도전에 직면해 있다”고 진단했다.
특히 “유라시아와 태평양을 연결하는 관문인 한반도의 평화는 유라시아는 물론 전 세계 평화를 위한 필수적인 조건”이라면서 “물류, 에너지, 인적교류를 비롯한 대부분의 협력 과제들이 남북관계의 안정과 북한의 개혁 개방 없이는 풀어가기 어려운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박 대통령은 우리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한반도 신뢰프로세스’와 ‘동북아 평화협력 구상’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두 구상 모두 신뢰 형성이 협력의 전제라는 인식 아래, 합의의 성실한 이행과 국제규범에 입각한 행동을 중요한 원칙으로 삼아 추진해나갈 것”이라며 “유라시아 모든 나라와 국민들이 한반도와 동북아지역 평화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을 함께하고 두 구상을 적극 지지해줄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개최된 유라시아 컨퍼런스는 한국·러시아·중국·몽골 등을 비롯한 아시아와 유럽 국가들이 한 자리에 모여 포괄적 협력방안을 논의하는 공식 국제세미나다. 박 대통령은 국내외석학, 국제기구 대표, 주한 외교대사, 관련 연구원과 학생 등 500여명의 청중을 대상으로 기조연설을 했다.
청와대는 이번 컨퍼런스가 외교·안보는 물론 통상·개발·교통·에너지·농업 등 다양한 부문의 협력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마련하고, 유라시아의 평화와 공동 번영을 토대로 세계경제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지구촌 행복시대를 여는 데에도 공헌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 데일리안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