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김성태 "문재인, 추잡한 소리 말고 책임지면 돼"


입력 2013.07.25 10:24 수정 2013.07.25 10:29        조성완 기자

"본인 입으로 사퇴까지 거론을 하면서 대화록을 열람하자고 주장했다"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 ⓒ데일리안
김성태 새누리당 의원은 25일 국가기록원에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이 존재하지 않는 것과 관련, 당초 대화록 공개를 주장한 문재인 민주당 의원을 향해 “본인이 본인 입에서 사퇴까지 거론을 하면서 대화록을 열람하자고 주장했다”며 사퇴를 촉구했다.

김 의원은 이날 BBS라디오 ‘박경수의 아침저널’에 출연해 “(대화록이) 없는 게 확인된 마당이면 문 의원도 이런 저런 추잡한 소리 하지 말고 책임지면 된다”며 이같이 밝혔다.

김 의원은 “문 의원이 자기가 정치생명을 걸고 책임지겠다, 대통령 기록물 한번 보자고 해서 이렇게 된 것”이라면서 “그것을 민주당 지도부가 따라 간 것이고 여야 합의에 의해서 열람 위원들이 대통령 기록물 보관소에서 찾아내지 못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지금 와서 아무 것도, 자기가 실천하는 어떤 국민적 약속의, 국민을 팔았으면 국민한테 뭔가 자기가 보여줘야 될 것 아닌가. 아무것도 없이 지금 와서 그만 두자. (도대체) 이게 뭔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면서 “우리 국민들이 언제 문 의원 보고 NLL 관련해서 문 의원이 옛날에 (노무현 전 대통령의) 비서실장을 했으니까 사퇴하라고 한 사람은 한 사람도 없다”며 “본인이 본인 입에서 사퇴까지 거론을 하면서 대화록 열람을 주장한 것 아닌가. 그 책임을 문재인이라는 사람이 지지 않으면 누가 지는가”라고 강조했다.

김 의원은 민주당을 향해서도 “민주당으로서는 지금 대화록 실종이라는 치명적인 국면에서 어떻게든 빠져나와 보려는 다급한 마음에서 이런저런 출구전략을 찾아보고 있는 것 같다”며 “지푸라기라도 잡아보고 싶은 복잡한 심경이겠지만 자꾸 무리수를 둘수록 점점 더 과거의 늪, 수렁 속으로 깊이 빠져 들어가게 된다는 것을 본인들이 더 잘 알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지금 와서 부속문서라도 보자고 하는데, 언제까지 국민들을 내팽개치고 NLL만 갖고 계속 말꼬리 싸움을 하자는 것인가”라면서 “사태가 이 지경까지 이른 데에는 민주당 나름대로의 복잡한 정치적 계산이 분명히 있었겠고, 내부 계파갈등 문제도 크게 작용을 했겠지만 더 이상 끌고 가는 것은 국민들 보기에 볼썽사나운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차라리 지금에서라도 국민들 앞에서 깨끗하게 책임을 인정하고 이 문제에 대해서는 일단락 짓는 것이 보다 건설적이고 미래지향적”이라고 덧붙였다.

전날 김한길 민주당 대표가 ‘대화록 유실 문제는 국정원 국정조사 특위에서 진실을 규명하자’고 제안한 것에 대해서는 “대화록 실종을 놓고 멘붕에 빠진 민주당 내부 갈등이 밖으로 여과 없이 드러난 것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당 대표는 저렇게 말하는데 또 다른 한편에서는 아주 비장하게 결사항쟁을 주장하고, 또 저쪽에서는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고 국민들도 많이 혼란스러울 것”이라면서 “지금은 민주당 내부에서부터 교통정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민주당이 주장하는 특검에 대해서도 “나도 정치하는 사람 중에 한 사람이지만 납득이 가지 않는다”며 “멀쩡한 대한민국 검사와 검찰 조직을 놔두고 왜 (특검을 하는가.)”라고 일축했다.

이와 함께 같은 당 김진태 의원은 MBC라디오 ‘신동호의 시선집중’에 출연해 전날 박범계 민주당 의원이 권영세 주중대사의 녹취록을 추가 폭로한 것과 관련, “국정조사에서 뭔가 한건하기 위해 무리수를 두고 있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김 의원은 “(박 의원이 공개한 녹취록은) 장물인데, 이것을 막 여기저기 떠드는 것은 관계법에 위배된다”며 “더 나쁜 건 이 장물의 내용을 조작했다는 것이다. 편집을 넘어서서 안 들리는 걸 완전히 가필, 조작해냈다”고 지적했다.

김 의원은 국정원 국정조사의 공개여부를 두고 여야가 이견을 보이는 것에 대해서는 “우리는 절대 양보할 수 없다. 남재준 국정원장을 불러다가 망신 주겠다는 이야기”라며 “거기까지만 하면 좋은데 정보기관의 수장을 불러다가 다 공개를 시키면 정보기관이 무력화된다”고 비공개 진행을 주장했다.

이어 “아무리 국정원이 잘못한 게 있어도 회초리를 쳐서 바르게 하도록 해야지 이건 완전히 다리를 부러뜨리겠다는 것”이라며 “애정이 전혀 없는 것이다. 우리는 절대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조성완 기자 (csw44@naver.com)
기사 모아 보기 >
0
0
조성완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