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유하기

카카오톡
블로그
페이스북
X
주소복사

盧정부 총리의 귀환…윤석열, 한덕수 카드로 '경제·통합' 방점


입력 2022.04.04 00:00 수정 2022.04.04 00:10        최현욱 기자 (hnk0720@naver.com)

韓, 좌우 가리지 않고 실무 능력 중용

尹 "오직 실력·전문성 인정받은 분"

호남·盧 정부 출신…탕평 인사 의지

여소야대 속 인사청문회도 고려 대상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일 서울 통의동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기자회견장에서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배석한 가운데 새정부 초대 총리후보로 한 전 국무총리를 지명한 후 퇴장하고 있다.ⓒ인수위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이 3일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로 노무현 정부 당시 총리를 지냈던 한덕수 전 총리를 지명했다. 실무 능력과 탕평 인사를 모두 충족한 인사라는 점에서, 윤 당선인이 핵심 공약으로 내세웠던 '국민통합'에 대한 의지가 부각됐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당선인은 이날 오후 3시 30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사무실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 후보자는 정통경제관료 출신으로 통상산업부차관과 재정경제부장관, 국무총리를 지내셨고 이후에는 주미대사와 무역협회장을 역임하며 경제·통상·외교 분야에서 풍부한 경륜을 쌓아온 분"이라 소개했다.


또 한 후보자에 대해 "정파와 무관하게 오로지 실력과 전문성을 인정받아 국정의 핵심 보직을 두루 역임하신 분"이라 강조했다.


보수, 진보 정권을 가리지 않고 경제와 외교 분야에서 요직을 수행해 온 한 후보자의 이력을 높이 샀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인수위 안팎에 따르면 윤 당선인은 총리 후보자 인선의 최우선 조건으로 '경제'를 앞세웠다고 한다. 실제 한 후보자와 함께 초대 총리 하마평에 올랐던 인사들은 대부분 '경제통'이라 평가 받는 관료 출신이 다수였다.


한 후보자는 서울대 경제학과를 수석으로 졸업했으며, 서울대 재학 중 행정고시에 합격해 공직에 입문한 바 있다. 공직 입문 뒤 유학길에 올라 미국 하버드대에서 경제학 박사를 취득하고 기획재정부와 산업통상자원본부에서 경험을 쌓은 뒤 김대중 정부에서 청와대 경제수석을, 노무현 정부에서 경제부총리와 국무총리를 역임하며 소위 '엘리트 코스'를 밟았다.


진보 정권에서 요직을 지냈지만 정권이 교체된 이후에도 한 후보자는 이명박 정부에서 주미대사로 임명됐다. 이념에 상관 없이 실무 능력을 인정 받았다는 것으로 볼 수 있는 대목이다.


이처럼 경제와 외교 분야에서의 폭넓은 경험과 국무총리 시절 '한미자유무역협정(FTA)' 등의 가시적 성과가 윤 후보자로 하여금 한 후보자를 지명하게 한 배경이 됐다는 관측이다. 윤 당선인은 이날 "경제와 안보가 하나가 된 '경제안보시대'를 철저히 대비해 나가야 한다"고 말했다.


윤석열 정부의 첫 신임 국무총리로 지명된 한덕수 전 총리가 3일 오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기자회견을 마친 후 떠나고 있다. ⓒ인수위사진기자단

한 후보자 또한 이날 △국익외교를 통한 국방의 자강 △재정건전성 확보 △국제수지 흑자 유지 △높은 생산력 유지 등의 중장기적 국가 과제를 던지며 '경제'와 '안보'를 키워드로 국정을 운영해 나가겠다는 뜻을 밝혔다.


한 후보자는 이날 문재인 정부의 대표적 경제기조로 평가되는 '소득주도성장' 및 '최저임금 인상' 등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정책 대전환에 대한 의지를 드러내기도 했다.


그는 "(소득주도성장은) 방법론 자체가 조금 무리한 경우가 있었다"라며 "최저임금을 급격하게 올린 것에서 사실 상당한 문제가 발생했다. 급격히 올린 그 소득을 감당할 만한 기업들이 안 되면, 그 기업들은 결국 고용을 결국 줄이는 대응을 할 수밖에 없는 것"이라 꼬집었다.


한 후보자 인선에는 대선 기간 동안 '국민통합'을 내세웠던 윤 당선인의 공약과 이를 위한 '탕평 인사'가 배경이 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라북도 전주 출신으로서 진보 정권에서 실세로 활동했던 한 후보자를 전격 발탁하며 "진영 논리에 얽매이지 않고 탕평 인사를 하겠다"는 공약을 입증했다는 평가다.


이에 더해 초대 총리 지명을 위해 반드시 거쳐야 하는 통과 절차인 국회 인사청문회도 고려된 것으로 보인다. 여소야대(與小野大)인 국회 현 상황에서 인사청문 과정 속 여야 대립이 발생할 경우, 어느 한 쪽 진영에 대한 역풍 여부와 별개로 정권 초반 국정 드라이브에 상당한 제동이 걸릴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더불어민주당 입장에서 노무현 정부 당시 인사청문회를 무리 없이 통과하며 중용됐던 인사를 이제 와서 물고 늘어지기엔 국민 정서와 여론상 쉽지 않을 것이란 예측이 많다.


노 정부 이후 15년 동안 재산 변경 흐름 등에서 어떤 변수가 발생할지 모른다는 우려도 나오지만, 슬하에 자녀가 없는 등 문제가 불거질 소지가 비교적 크지 않다는 것이 정치권의 중론이다.


이수진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이날 윤 당선인의 한 후보자 지명 직후 논평을 통해 "한 후보자가 총리직을 수행했던 15년 전과 달리 대한민국은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신냉전 국제질서, 고령화와 청년불평등 문제 등 이전과는 질적으로 다른 문제들에 직면해 있다"며 "과거의 전문성 뿐 아니라, 미래에 대한 통찰력과 과감한 결단력이 필요하다. 한 후보자의 민주주의에 대한 소신을 중심으로 철저하게 검증할 것"이라 말했다.

최현욱 기자 (iiiai0720@dailian.co.kr)
기사 모아 보기 >
0
0
최현욱 기자가 쓴 기사 더보기

댓글 0

0 / 150
  • 최신순
  • 찬성순
  • 반대순
0 개의 댓글 전체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