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상황 발생시 비상연락 및 이송 체계 가동 여부, 자가 이탈여부 확인 등 점검
정신건강 담당자 지정…고위험군은 심리 상담 지원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 시 집에 머물며 치료를 받는 '재택치료'를 원칙으로 한다는 방침을 밝힌 가운데 지자체별 재택치료 이행 현황 파악에 나섰다. 정부는 재택 치료 대상자가 기준에 따라 분류됐는지, 재택치료 관리 의료기관이 확보됐는지 등을 점검할 예정이다. 또한 재택치료자의 심리 상담을 지원하는 등 심리 지원도 강화한다.
1일 보건복지부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에 따르면 이날부터 3일까지 사흘간 재택치료 체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긴급 현장점검을 추진한다.
앞서 정부는 지난달 '단계적 일상회복'으로 전환한 이후 한 달 만에 위중증 환자가 700명대까지 치솟자 중환자 치료에 주력할 수 있도록 기본 치료 방침을 재택치료로 전환하기로 했다.
먼저 정부는 재택치료 대상자가 적정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고, 각 지역에서 재택치료자 관리 의료기관이 충분하게 확보됐는지 등을 점검한다.
아울러 응급상황이 발생할 때를 대비해 비상연락 및 이송 체계가 신속하게 가동되고 있는지와 재택치료자 대상 전담공무원 지정 및 자가 이탈여부 확인 등 격리 관리 현황도 확인할 예정이다.
이를 바탕으로 각 지자체 보건소 등에서 필요한 행정·의료인력을 추가로 지원하고, 적시에 진료를 받을 수 있는 단기·외래 진료센터를 운영하는 등 인적·물적 인프라를 강화한다는 계획이다.
시·도에서 보유한 예비구급차를 즉시 투입할 수 있도록 구급대원 인력도 추가로 확보하고 재택치료자에 대한 심리 지원도 강화한다.
정부는 지자체나 협력의료기관의 재택치료팀 내 정신건강 담당자를 지정하고, 재택치료자가 사용하는 건강관리 앱을 통해 치료 시작일과 5일 차에 한 차례씩 정신건강 자가진단 평가를 시행한다. 평가 결과, 심리불안·우울 등이 기준 점수를 초과한 고위험군은 각 지자체 정신건강복지센터로 연계해 심리 상담도 지원할 예정이다.